패스21 대주주인 윤태식씨의 정관계 주식로비 의혹과 관련 이 회사 지분을 소유하고 있는 김영렬 서울경제신문 사장의 역할과 언론인 연루 의혹을 둘러싼 파문이 확산되고 있다. 특히 김 사장은 본인과 부인 윤씨, 아들 명의로 패스21 창업 당시 지분 16%(1만6000주)를 보유한 상황에서 정관계 인사를 만나 패스21의 지문인증 기술을 소개한 것으로 드러나 실제 역할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관련기사 3면
김 사장의 부인 윤씨는 벤처 인큐베이팅 사업을 시작하면서 98년 패스21 입주 조건으로 이 회사 지분 16%를 받은 바 있으며, 두 아들은 98년 각각 패스21 이사와 감사로 등재되기도 했다. 김 사장은 이 과정에서 지난 98년 당시 이종찬 국정원장을 윤태식씨에게 소개했다. 99년에는 이규성 전 재경부 장관을 윤씨에게 소개, 이 전 장관은 지난해 5월부터 7개월 간 패스21 회장으로 재직했다. 김 사장이 자신의 지위나 인맥을 활용해 패스21 홍보와 사업확장에 관여하고 주식 매매를 통한 시세차익을 얻었는지 여부에 관심이 모아지는 것도 이 때문이다.
김 사장은 이와 관련 지난달 24일 “이 전 국정원장과는 고교 동창이고 이 전 장관은 재무부를 출입하며 잘 알던 사람”이라며 “좋은 기술이 있어 이를 소개시켜 준 것일 뿐”이라고 로비설을 일축했다. 또 올 7월 사설을 통해 패스21의 지문인증 기술을 다루는 등 서울경제의 보도 양상에 대해서도 “보도에 관여한 바 없으며 오히려 윤씨가 너무 작게 다룬다고 불만을 얘기한 적이 있다”고 말했다. 반면 서울경제의 한 관계자는 “김 사장이 직간접적으로 관련 보도 요청을 한 적은 있다”고 밝혀 일정 부분 패스21 보도에 관여했음을 시사했다.
패스21 주주 명단과 관련 김 사장 외에 언론인들이 추가로 연루되어 있는 지 여부도 파문 확대를 예고하는 불씨로 남아 있다. 한때 벤처 열풍과 함께 기사를 쓰고 주식을 대가로 받는다는, 언론계 일각에서 제기됐던 의혹이 또다시 불거질 수 있다는 관측이다. 패스21 주주로는 몇몇 경제지 기자들이 거론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 검찰 출입기자는 “수사과정에서 언론인들의 경우 로비나 관련 보도의 연관성이 드러난다면 배임수재 등의 혐의가 성립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