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신년특집] 전국기자 503명 언론·정치현안 여론조사

'현 대선후보 지도자로 부적합' 71%

김동원 기ㅏ  2001.12.28 11:25:55

기사프린트

기자협회가 한길리서치와 공동으로 실시한 ‘2002년 정치 및 언론 현안에 대한 여론조사’ 결과는 올해 최대 이슈인 대선 보도와 관련 현직 기자들의 판단의 단면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눈길을 끈다. 특히 응답자의 10명 중 8명 이상이 언론사의 특정후보 지지 경향을 감지하고 있다거나 응답자의 7할이 대선 보도에서 사주나 경영진의 편집권 간섭을 예상하고 있다는 조사결과는 대선에서 언론의 공정성 문제가 핵심 쟁점이 될 것임을 짐작케 하고 있다. 여론조사 결과를 분석해 봤다.



대선후보 적합성

“현재 거론되고 있는 대선후보들이 국가를 이끌어갈 적합한 지도자라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응답자의 71.1%가 “적합하지 않다”고 밝힌 것은 다수 기자들이 이들 후보의 자질에 대해 회의적으로 생각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적합하다”는 의견은 27.2%에 그쳤다. 이런 후보들에 대한 회의적 평가는 차장급 이상(59.0%)보다 평기자(76.2%) 표본에서 더 많았고 근무 연한이 짧으면 짧을수록 커져 근무년수 1∼3년차의 젊은 기자들의 경우 81.3%가 현 대선 후보군을 적합치 않다고 보는 것으로 나타났다.



당선 가능성 높은 후보

당성 가능성이 높은 후보를 묻자 응답자의 2/3에 이르는 72.6%가 이회창 한나라당 후보를 꼽았다. 그 다음으로 꼽힌 이인제 민주당 고문(9.7%)과 노무현 고문(8.0%)을 제외한 그 밖의 주자들은 모두 소수점 아래였다. 이회창 총재의 당선 가능성을 예상하는 견해는 남성(71.5%)보다는 여성(80.7%), 차장급 이상(67.4%)보다는 평기자(74.8%) 표본에서 많이 나왔다. 또 매체별로는 중앙일간지의 응답자들(84.2%)이 다른 매체 응답자에 비해 이 총재의 당선 가능성을 많이 점쳤다. 하지만 이런 조사결과는 응답자들의 지지 후보 선택이 아닌 판세 전망이란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집권 가능성 높은 당

집권 가능한 정당의 경우도 한나라당을 지목한 견해가 응답자의 8할을 차지했다. 민주당을 예상한 응답자는 14.9%에 그쳤다. 대세를 거스르진 못하지만 근무년수 10∼15년(20.1%), 매체별로는 지방신문(26.5%)에서 응답자의 20%를 넘는 비율이 민주당의 집권을 예상한 점이 눈에 띈다.



여당 대통령 후보 예상

여당 대선 후보는 이인제 고문이 될 것이란 의견이 61.4%로 나왔다. 그 다음으로 노무현 고문을 지목했지만 15.1%에 그쳤고 그밖의 주자들은 한자리수에 머물렀다. 이인제 고문의여당 후보 예상 의견은 또 성별, 직책, 매체, 근무년수별 분포 모두에서 절반 이상으로 집계됐지만 근무년수 3년차 이하 기자들의 표본에서 상대적으로 가장 적은 52.1%로 나타났다. 이들 3년차 이하 기자들 표본에선 노무현 고문을 지목한 비율이 22.9%였다.



대선 전 정계 개편 가능성

올해 정치권의 최대 변수가 될 정계개편이 대선 이전에 이뤄질 가능성에 대한 의견이 응답자의 절반 이상인 62.6%로 나왔다는 점도 주목된다. 하지만 표본 가운데 직책별로는 차장급 이상(58.3%), 근무년수별로는 16년 이상(48.1%), 매체에서는 중앙일간지(55.8%), 부서로는 정치부(55.1%)의 기자 표본에서 전체 응답률에 미치지 못한 수치가 나왔다는 점도 이채롭다. 전체 응답자 가운데 “반반이다”와 “가능성이 없다”는 의견은 각각 25.2%와 11.1%로 나왔다.



대선후보 선택 기준

대통령 선거에서 국민들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후보 선택 기준에 대해 전체 응답자들은 인물(36.6%), 지역(28.2%), 정책(20.1%), 정당(14.5%) 순으로 답해 기자들은 국민들이 정책보다는 지역, 또 지역보다는 인물 중심으로 후보를 선택한다고 보는 것으로 나타났다.



역대 대선보도 문제

역대 대선보도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는 “지역대결 조장”(43.1%)이란 의견이 가장 많았다. 그 다음은 “특정후보 편들기”(27.2%), “후보자 자질·정책 검증 미흡”(18.1%), “경마식 보도”(10.4%) 순이었다.



언론사 특정후보 지지여부

이런 평가에 기초해 대선과 관련, “언론사의 특정후보 지지가 있다고 생각하느냐”는 물음에 대해 응답자의 대다수인 87.1%가 “그런 편”(심한 편이다 33.8%+조금 그런 편이다 53.3%)이라고 답했다. “그렇지 않다”(그렇지 않다 9.7%+전혀 그렇지 않다 3.2%)는 답변은 12.9%에 그쳤다.

이 항목에선 표본별 응답자 가운데 여성(93.0%)과 16년 이상 근무자(92.6%),

매체에선 방송(91.5%)과 경제지(92.9%),

지역에선 서울(90.1%)에서 “그런 편”이란 응답이 90% 이상을 보인 데 반해 정치부 기자 표본에선 전체 응답률보다 10%포인트 가량 낮은 77.6%를 기록한 점이 눈에 띈다.



특정후보 지지 언론사

특정후보를 지지하고 있다면 어느 언론사가 그렇다고 보는가. 처음 1개 언론사를 선택할 것을 요구한 이 질문에 응답자(표본수는 438명)의 70.8%가 조선일보를 지목했다. 그 다음은 중앙일보 6.4%, 한겨레 3.2%, 동아일보1.8% 순이었다.

표본별로는 특히 매체 가운데 방송(서울지역) 표본에서 조선일보를 지목한 비율이 가장 높은 83.1%를 기록한 반면 지방방송 표본은 가장 낮은 61.5%를 보인 게 이채롭다. 지방방송의 경우 중앙일보를 지목한 비율이 15.4%로 상대적으로 높게 나왔다. 또 스포츠지 가운데 조선일보 다음으로 중앙(9.7%)이 아닌, 한겨레를 지목한 비율이 12.9%에 이른 점도 눈에 띈다.

조사에선 또 이런 답변(1순위 조사)을 얻은 뒤 다시 “그 다음으로 특정후보를 지지하고 있다고 보는 언론사는 어디냐”(2순위 조사)를 물어 두 개의 결과를 합(1순위+2순위)했는데, 그 결과 역시 수위는 조선일보(78.3%)였다. 하지만 ‘1순위+2순위’ 조사결과에선 당초 1순위 조사 때 한자리수에 그쳤던 중앙, 동아, 한겨레의 비율은 두자리수로 늘었다. 중앙이 42.2%, 동아는 13.7%, 한겨레는 12.1%로 나타났다.



언론에서 호의적인 후보

이와 관련, “현재 언론에서 가장 호의적으로 보도하는 후보는 누구라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응답자의 반수인 51.9%는 이회창 한나라당 총재를 꼽았다. 그 다음은 박근혜 한나라당 부총재(8.5%), 노무현 민주당 고문(5.6%),

이인제 고문(5.2%) 순이었다.



언론 영향력 전망

올해 대선에서 언론의 영향력을 묻는 질문에 대해 응답자의 절반인 50.9%는 “과거와 비슷할 것”이라고 답했다. 이런 가운데 “더 커질 것”이란 응답(28.4%)이 “약해질 것”이란 답변(20.1%) 보다는 많았다.

각 표본별로는 차장급 이상(34.0%)과 매체별 방송(38.0%)과 지방방송(45.0%) 표본에서 “더 커질 것”이란 답변이 전체 응답률 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나왔다. “약해질 것”이란 응답은 근무년수 1∼3년(25.0%), 매체에선 경제지(28.6%)에서 많이 나왔다.



대선보도 언론내부 영향력

또 올해 대선 보도와 관련, 응답자의 반수 이상(52.5%)은 언론사 내부에서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칠 사람으로 사주나 경영진을 꼽았다. 이에 비하면 편집간부(28.6%)와 일선 기자(17.1%)라는 의견은 소수였다.

사주나 경영진의 대선 보도에 대한 영향력 평가에서 눈길을 끄는 것은 근무년수 4∼9년 사이의 소장기자들이 상대적으로 전체 응답률 보다 높게(4∼6년 58.5%, 7∼9년 57.5%) 사주나 경영진의 영향력을 점치고 있다는 점이다. 또 중앙일간지(53.3%)보다는 방송(59.2%) 표본이 더 많게 나타났다.



사주 편집권 침해여부예상

이런 사정 때문에 올해 대선 보도과정에서 사주나 경영진의 편집권 침해를 우려하는 견해가 전체 응답자의 2/3를 넘는 71.4%로 나타났다고 볼 수 있다. 편집권 침해가 없을 것이란 의견은 24.7%에 그쳤다.

표본별 분포에선 여성(84.2%)이 남성(69.7%) 보다, 차장급 이상(72.9%)이 평기자(70.6%)보다 우려하는 수가 많았다. 또 매체의 경우 중앙일간지(66.1%)와 지방방송(60.0%)을 뺀 방송(76.1%), 경제지(76.2%), 스포츠지(82.9%), 지방지(72.4%)에서 편집권 침해를 우려하는 답변이 전체 응답률보다 높게 나왔다. 이런 가운데 대선을 직접 취재하는 부서인 정치부 표본에서 사주나 경영진의 편집권 침해를 우려하는 의견이 타부서들에 비해 가장 적다(59.2%)는 점이 이채롭다.



대선 공정보도 필요 요건

결국 문제는 어떻게 공정한 대선보도를 할 것인가로 모아지는데, 응답자들은 “기자 스스로의 공정보도 노력”(33.4%)과 “사주 및 경영진의 간섭 배제”(33.2%)를 비슷한 비중으로 선택했다. “노사공동의 대선보도 준칙 마련”과 “노조, 언론단체, 시민단체의 감시활동”을 선택한 응답은 각각 18.1%와 14.7%로 나타났다.

특이한 점은 이 문항에서 직책별, 연령별로 견해차가 작지만 나타나고 있는 점이다. 차장급 이상(37.5%), 근무년수에선 16년 이상(38.9%) 표본에선 “기자들의 공정보도 노력”을 상대적으로 많이 주문하고 있는 반면, 평기자들은 “기자 스스로의 공정보도 노력”(31.9%)보다는 “사주 및 경영진의 간섭 배제”(33.3%)가 더 필요하다고 봤다. 평기자들 사이에서도 의견이 또 갈려 1∼3년 표본은 기자의 공정보도 노력(36.8%)을 우선 지목했지만, 그 이상부터 9년차까지 2개 표본에선 “사주 및 경영진의 간섭배제”(4∼6년 43.4%, 7∼9년 33.2%)에 더 큰 비중을 뒀다.



김대중 정부 언론정책 학점

김대중 정부의 언론정책을 학점으로 평가하면 몇 점일까. 기자들의 평가는 매웠다. 응답자 가운데 A학점은 4.6%에 그쳤으며 B학점도 29.0%였다. C학점이 가장 많은 31.8%였으며 D학점은 22.1%, F학점도 12.1%에 달했다. A학점과 B학점을 합한 비율(33.6%)과 D학점과 F학점을 합한 비율(34.2%)이 엇비슷한 만큼 결국 평균 C학점이라고 볼 수 있다.

현 정부의 언론정책에 A학점을 매긴 표본이 가장 많은 곳은 매체 가운데 경제지(14.3%)였으며 F학점을 준 표본이 가장 많은 곳은 지방방송(25.0%)이었다.중앙일간지의 경우 A학점은 1.2%에 그친 반면 F학점은 전체 응답률 보다 높은 18.8%로 나왔다.



언론자유 비교평가

김대중 정부 이후 언론자유를 이전과 비교하는 질문에 대한 반응 또한 신통치 않았다. 응답자의 46.5%가 “별 차이 없다”고 밝혀 “더 신장됐다”(38.2%)는 의견보다 많았다. “더 위축됐다”는 의견은 14.9%로 나타났다.

하지만 직책별 표본 중 차장급 이상(43.1%)에서, 그리고 부서별 표본 11개 가운데 정치부(51.0%), 경제부(52.1%), 문화부(45.8%) 등 5개 부서에선 “더 신장됐다”는 의견이 “별 차이 없다” 보다 많았다. 지방지 표본에선 “더 신장됐다”는 의견과 “별 차이 없다”는 답변이 같은 비율(40.0%)로 나왔다.



언론사 세무조사 평가

올해 언론계의 최대 이슈였던 언론사 세무조사 결과에 대한 평가는 비슷했다. “세무조사가 언론개혁에 도움이 됐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도움이 됐다”(많은 도움이 됐다 9.9%+어느 정도 도움이 됐다 38.8%)는 의견이 48.7%였고 “도움이 안됐다”(별로 도움이 안됐다 37.0%+전혀 도움이 안됐다 13.5%)는 견해가 50.5%로 나타났다.

표본별 분포 가운데 관심을 끄는 것은, 직책별 표본에서 차장급 이상은 “도움이 안됐다”(58.3%)는 의견이 많은 반면, 평기자에선 “도움이 됐다”(51.3%)는 답변이 더 많은 점. 또 매체별로는 방송에서 “도움이 됐다”는 견해(57.7%)가 많았으며 중앙일간지에선 “도움이 됐다”(49.1%)와 “안됐다”(49.7%)는 소수점 아래 차이 정도로 비슷했다. 경제지에서 “도움이 안됐다”(69.0%)는 의견이 많았다.



언론관계법 개정 전망

끝으로 내년 대선 이전에 정기간행물법 등 언론관계법의 개정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 응답자의 대다수인 83.3%는 “없다”(별로 없다 70.0%+개정 가능성이 전혀 없다 13.3%)고 답했다. “개정 가능성이 크다”는 의견은 10.7%에 그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