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태식 게이트’에 연루된 언론인들이 줄줄이 구속되고 있음에도 불구, 해당 언론사들이 이에 대한 공식 사과나 입장을 밝히는 데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높다. 또 해당 경제지들은 관련 내용의 단순 보도에 그치고 있어 언론의 책임을 도외시한 것이라는 비난을 사고 있다.
전직 언론인들이 구속된 이들 언론사들 가운데 매일경제는 16일자 1면 사고를 통해 “독자 여러분들에게 사과드린다”고 밝혔다. 매일경제는 이에 앞서 패스21 주식을 보유한 것으로 밝혀진 K부장과 J부장대우를 보직 해임하고 각각 편집국 부장과 부장대우로 발령냈다. 그러나 전직 언론인이 구속되거나 소속기자가 패스21 주식을 보유한 것으로 밝혀진 언론사들은 아직까지 공식 입장을 내놓지 않고 있다.
서울경제의 경우 15일자 1면 사고에서 김서웅 신임 사장을 선임했다는 내용을 실었을 뿐 김영렬 전 사장 소환과 패스21 연루 의혹 등에 대한 입장은 밝히지 않았다. 김 신임 사장은 15일 간부회의에서 “사과할 것은 사과하고 자숙할 것은 자숙하자”는 요지의 발언을 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종승 편집국장은 이와 관련 “일단 검찰 조사를 지켜본 뒤 회사 입장을 밝힐 지 여부를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SBS의 한 관계자는 “현재 부서별로 주식 보유 문제 등 재발 방지를 위한 노력을 진행하고 있다”며 “공식사과도 필요하겠지만 내부적인 도덕 재무장 작업이 우선이라고 본다”고 언급했다.
이밖에 언론사들은 수사가 진행 중이라는 점을 들어 자체 징계나 입장 발표에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 조선일보 사장실의 한 관계자는 “당사자 입장만 들어본 상황이기 때문에 수사권이 있는 검찰 조사를 일단 지켜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관련 보도에 있어서도 해당 언론사들은 소환, 구속된 소속 기자들의 신분을 밝히지 않았다. 서울경제, 매일경제는 소환, 구속 사실을 대부분 사회면 1~2단 기사로 처리했으며 모 경제지 최모 전 부장이나 언론사 전 기자 이모씨, 모 경제지 간부라고 표기했다. SBS는 전 방송 PD 정모씨로 보도했다.
손동우 경향신문 미디어팀장은 “사회 일반 범죄에 대해서는 그렇게 질타하면서 정작 구성원들의 잘못을 회피하거나 직간접적으로 은폐하려는 행위는 언론의 책무를 포기하는 것”이라며 비판했다. 손 팀장은 “책임 있는 언론이라면 잘못을 인정하고 재발 방지를 약속하는 게 실추된공신력을 회복하는 길”이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