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인들에게 가장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 논쟁이 있겠지만, 저널리스트의 긍지와 자부심을 갖는 일이 중요할 것이다. 이는 끊임없는 전문화 교육 속에서 체화돼야 하겠지만 당장 모색할 수 있는 대안중의 하나는 상(Prize)제도이다.
규모가 큰 미국 언론사들은 Contest
Coordinator를 두고 있다. LA타임스의 코디네이터인 버튼 웰스는 단체마다 각각 다른 규정과 수상기준 등을 조사한 후, 편집국과 협의해 적합한 후보작들을 제출한다. 상은 수상자에게 한 분야의 전문가라는 자부심과 긍지를 심어주는 중요한 기제가 된다. 소속 언론사도 수상 사실을 권위로 인정하고 회사 홍보에 적극 활용하고 있다. 수상범위는 사회와 언론 각 분야를 망라하며 주관 단체들은 크게 네 부류로 나눠진다.
American Institute of Biological Sciences 등과 같은 전문가 집단, The John Shorenstein Center On The Press와 같은 공공재단 및 NGO 그룹, Peabody Awards 등 저널리즘 대학 그룹, 그리고 마지막으로 IRE와 같은 언론직능단체 그룹이다.
수상기관들은 명확한 심사규정과 목적, 엄정한 심사제도를 갖고 있다. 언론의 노벨상인 퓰리쳐상은 2000년 심사 당시 모두 1516건의 접수를 받았다. 뉴욕타임스 편집인을 역임하고 1993년부터 퓰리쳐상 운영위원장을 맡고 있는 세이머 토핑은 “상의 권위는 엄정한 심사에서 나온다”고 말한다. 퓰리쳐상은 1차에서 언론인 77명으로 구성된 심사위원단이 3배수 정도를 선정한 후 19명의 위원단(언론인 16명)에서 최종 수상자를 결정한다. 위원회는 더 공정한 결과를 위해 심사위원을 늘릴 계획이다.
상 내역도 다양하다. 단순히 돈만 주는 것이 아니라 수상자가 대학 등에서 관련 주제로 연구하기를 원할 경우 장학금이나 보완 취재비용으로도 받을 수 있다. 또 수상자들은 관련 분야 세미나 등에 참석하는 경비를 지원받는다. 수상이 일회에 그치지 않고 언론인으로서 전문성을 쌓을 수 있는 기회가 되고 있다.
우리도 각 단체 등에서 주관하는 언론인 상 제도를 갖고 있다. 그러나 이 제도가 언론인들의 전문성을 높이고 역량을 쌓는 토대 구실을 하고 있는가에 대해 반성할 필요가 있다. 하루 밤의 추억과 술자리로 끝나는 일장춘몽이 된다면 상의 의미는 반감될 것이다.
몇몇 단체는 대상 수상자들에게 일주일동안의 해외연수를 제공하고있으나 전문성을 쌓을 수 있는 기회가 되었는가는 의문으로 남는다. 오히려 장학금 지급이나 관련 분야의 국내외 세미나에 참석 비용을 제공하는 것이 훨씬 의미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