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지방자치단체장 선거와 대통령선거를 앞두고 ‘언론사의 특정 후보 지지 선언’이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선거 때마다 불거지는 ‘특정 후보 편들기’ 논란에서 벗어나기 위해 우리 언론도 미국처럼 공개적으로 특정 후보 지지선언을 하는 것을 적극 검토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실제 대선 보도와 관련해 기자협회가 올해 초 실시한 설문조사에서도 ‘언론사의 특정 후보지지 가능성이 있다’는 의견이 87.1%로 나타난 바 있다. 그러나 언론사의 사세 확장이나 이익에 기울어져 특정 후보 지지 선언이 공정성 논란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는 지적도 만만치 않게 제기되고 있다.
이같은 문제는 최근 오마이뉴스가 이번 대선에서 특정 후보를 공개적으로 지지할 것이라고 밝힌데 이어 MBC 100분토론이 언론의 특정 후보 지지 선언에 대한 찬반토론을 벌이면서 공론화 됐다.
오마이뉴스 오연호 대표는 “특정 후보를 지지하기 전에 후보들에 대한 철저한 분석작업이 공개적으로 이뤄져야 할 것이다. 그런 후에 특정 후보를 지지하는 것은 독자의 알 권리에 도움을 주는 것이고, 한편으로는 언론이 독자들 앞에 보다 솔직해지는 것”이라며 “1만6000명의 시민기자들과 함께 바람직한 대통령의 기준을 정하고 이에 부합하는 후보를 공개적으로 지지할 것”이라고 밝혔다. 오마이뉴스는 이를 위해 시민기자들을 대상으로 여론조사를 실시하는 한편 인터뷰와 전문가 분석을 통해 후보들에 대한 검증작업을 한 후 투표 3일 전에 ‘오마이뉴스의 입장’이라는 형식으로 지지 선언을 한다는 계획이다.
그러나 언론의 특정 후보 지지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조심스런 분위기다. 지난 18일 ‘언론의 특정 후보 지지’를 주제로 다룬 MBC ‘100분 토론’에서도 이에 대해 찬반 양론이 엇갈렸다.
이날 김상온 국민일보 논설위원과 이효성 성균관대 신문방송학 교수는 “공개적으로 안 하고 있을 뿐이지 사실상 지금도 우리 언론은 특정 후보를 지지하고 있는 게 현실이다. 아예 사설을 통해 드러내놓고 특정 후보를 지지한다면 이런 이중적인 태도는 없어지고 오히려 기사는 공정해질 수 있을 것”이라며 특정 후보 지지 선언에 대한 ‘찬성’ 입장을 밝혔다.
반면 김재홍 경기대 신문방송학 교수는 “편집권의 독립과 민주화가 이루어진 뒤에 해야 제도가 성공할 수 있을 것”이라며 “그렇지 않으면 경영주와 사주의 입장, 언론사의 이익에 따라 특정후보지지가 이뤄질 것”이라고 밝혔다. 김현일 중앙일보 논설위원도 “미국은 어느 정도 정치 문화적으로 체제가 안정돼 있지만 우리는 그렇지 못하다”며 ‘시기상조’라는 입장을 밝혔다.
한편 언론의 특정후보 지지선언과 관련해서는 ‘실정법 위반’ 논란도 제기될 전망이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언론사가 특정 후보를 지지하는 것은 현행 선거법에서는 인정되지 않고 있다”며 “언론의 특정 후보 지지가 허용되려면 여야 합의에 의한 선거법 개정이 뒤따라야 가능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와 관련 오마이뉴스가 여야 대선 예비주자들의 입장을 물은 결과 민주당 노무현·김근태·한화갑·정동영 고문은 ‘찬성’, 이인제 고문은 ‘신중’이라는 입장을 밝혔고 한나라당 이회창 총재는 ‘반대’, 박근혜 부총재는 ‘시기상조’라는 입장을 밝힌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