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대선 예비주자들에 대한 TV토론이 본격화되면서 ‘미디어 정치’의 막이 올랐으나 흥미위주, 겉핥기식 진행 등 문제점도 상당수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매체비평 모임인 매비우스 조은숙 기획부장은 “TV토론이 아직 끝나지 않았지만 현재까지 진행되는 것을 보면 지나치게 형식적이고 나열식이어서 깊이 있는 토론이 이뤄지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조 부장은 “SBS의 경우 짧은 시간 안에 개인 홍보에 치우친 사전 제작물과 부인 인터뷰 등 흥미위주의 내용을 집어넣느라고 정작 후보자에 대해 검증할 수 있는 정책관련 질문이 매우 부족했다”고 말했다.
MBC에 대해서는 “공통질문을 하면서 각 후보자에게 약속을 받아낸 것은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지만, 정치, 경제, 외교, 안보, 사회, 여성 등 모든 분야를 총망라하느라 깊이 있는 토론보다는 훑고 지나가는 정도였다”고 지적했다.
후보자의 정책 검증을 위해 MBC TV토론을 모니터하고 있는 참여연대도 “토론회 진행과 패널질의가 지나치게 후보의 자질검증 혹은 자질시비에 맞추어 짐으로써, 정책과 비전을 검증하기에 적합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 김중권 고문에 대한 모니터 결과 “전반적으로 과거경력에 관한 해명이 주를 이루어 정책적 대안을 국민에게 피력하고 검증 받는 토론이 되지 못해 아쉬움을 남겼다”고 말했다.
MBC, SBS, YTN 등 3사의 TV토론을 모니터한 서울YMCA도 이번 토론이 97년 제15대 TV토론의 한계를 그대로 답습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YMCA는 모니터 보고서에서 “패널 질문이 단순한 사실 확인과 의견 요구 중심이어서 정책능력이나 답변의 진실성을 검증하기에는 미흡한 수준이었다”며 YTN은 16개 질문 모두가 의견제시를 요구하는 형태였고, SBS는 의견 요구(10개, 71.42%)와 단순한 사실 확인(2개, 14.29%)이 전체 질문의 85.71%에 이른 반면 검증을 위한 추궁형 질문은 2개로 14.29%에 불과했다고 지적했다. MBC도 의견요구(16개, 47.05%)와 단순한 사실 확인(14개, 41.18%)이 전체 질문의 88.23%에 달했다.
YMCA는 또 토론 의제가 개인, 선거전략, 정치 등 일부 주제에 편중돼 있고, 그나마 다루어진 의제가 시민사회가 제기하는 중심 과제나 국민적 의제가 아닌 방송용 의제 중심이었다고 꼬집었다. YTN의 경우 개헌에 대한 질문을 두 개나 한 반면 정치민주화·정책정당화·참여민주주의 등 시민사회가정치개혁의 핵심과제로 제시하고 있는 내용은 제외됐으며, SBS도 시민사회가 요구하는 정치개혁 의제를 다루지 않기는 마찬가지였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