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유권자 중심 이슈·신진 소수 목소리 반영

문화 선거보도준칙 눈길… 공약분석 재산 검증 등 구체적

박미영 기자  2002.02.06 00:00:00

기사프린트

문화일보가 지방선거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2002 양대 선거보도 준칙’을 발표해 눈길을 끌고 있다. 모두 20개항으로 이뤄진 문화일보의 선거보도 준칙은 유권자 중심 선거이슈 발굴, 신진·소수세력 목소리 반영, 재산 말바꾸기 검증 등 기존 준칙들과 비교해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문화일보는 5일자 신문 1면에 ‘선거보도 새장을 열겠습니다’라는 사고와 함께 5면에 전면을 할애해 보도준칙 세부내용을 자세히 보도했다. 문화일보는 이날 신문에서 “실제 선거 과정에서 누가 말한 대로 실천하고, 누가 구태 정치를 되풀이하는지를 감시하고 국민에게 알리는 것은 언론의 몫”이라며 “선거보도 준칙은 선언적 의미를 담아내는데 그치지 않고 향후 선거 취재 및 보도에서 실무 지침서 역할도 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정치부 기자들이 몇 차례의 토의를 거쳐 마련한 이번 선거보도 준칙은 ▷선거보도 기본 방향 ▷후보자 집중 조명 ▷공명선거 저해 행태 감시 ▷정치개혁과 국가발전 지향 ▷문화일보 자체 점검 등 5개 분야로 나뉘어져 있으며 모두 20개항으로 구성돼 있다.

선거보도의 기본 방향 부분에서는 정책대결에 초점을 맞추고 엄정 중립을 견지한다는 내용과 함께 유권자의 입장에서 선거이슈를 발굴, 보도한다는 내용 등이 들어 있다. 또 월 1회 정기 여론조사를 실시함으로써 민심흐름을 전달하고, ‘다음’과 ‘e윈컴’ 등 인터넷 사이트와 함께 ‘인터넷 후보 토론회’를 실시하는 등 인터넷 시대에 따른 변화를 적극 소개하겠다는 구체적인 내용도 포함돼 있다.

특히 문화일보는 신진·소수세력의 목소리를 적극 반영, 새로운 정치리더십의 출현 가능성을 높여 주는 한편 양대 선거에 출마하는 여성계 후보, 선거전 과정에서 제기되는 여성계의 주장에 각별한 관심을 보이겠다고 밝혀 눈길을 끌었다. 또 여야 후보가 정치문화 발전을 지향하는 선거운동 방식을 지향할 경우 자세히 보도할 것이라고 밝히는 등 정치개혁 문제에 상당한 비중을 두기도 했다.

이외에도 후보자 집중 조명을 위해 공약 분석 뿐 아니라 도덕성, 국가관과 병역·세금·재산 등을 검증하고 말바꾸기, 전과 등 과거문제도 추척하겠다고 밝혔고, 공명선거 저해 행태 감시를 위해 지역감정 조장행위 및 돈 선거 의혹을 끝까지 추적하겠다고 밝혔다.

또 선거취재과정에서 후보진영으로부터 금품 및향응제공이 있을 경우 이를 거부하겠다는 내용과 외부전문가들로 모니터 팀을 구성, 문화일보가 선거보도 준칙을 지키고 있는지 자체적으로 점검하겠다고 밝힌 점도 눈길을 끌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