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우리의 주장] 전문기자제 늦출 일 아니다

기자직 간부비율 증가 대책 시급

우리의주장  2002.02.27 13:44:45

기사프린트

언론사 기자직 중 간부의 비율이 높아졌다.

우리 신문이 이번에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기자직 중 간부의 비율이 4년여만에 7.0% 높아져 전체의 37.2%에 이르고 있다. 평기자의 6할에 가까운 비율이다. 일부 언론사들의 경우 간부가 50%에 육박한다. 심지어 간부의 숫자가 절반을 넘어선 곳도 있다. 특히 차장급 간부의 증가 현상이 두드러진다. 이런 의도하지 않은 변화는 기자직의 인력 구조가 중간이 불룩한 항아리의 형태로 바뀌어 가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를 자아내고 있다.

취재와 편집의 일선에서 아무래도 멀어질 수밖에 없는 간부의 층이 두터워지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게 우리의 판단이다. 피라미드형 제작 시스템을 유지하는 한 승진 연한은 차츰 늘어나고,몇 년 안에 차장급 간부들의 승진 문제가 다시 불거질 것이다. 무엇보다 발로 쓰는 기사가 줄어들어 현장감이 떨어지는 등 지면과 화면의 질 저하가 우려된다.

이런 문제들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인력 구조가 더 왜곡되기 전에 손을 쓸 필요가 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우리는 전문기자제도를 본격적으로 도입할 것을 제안한다. 전문기자제는 기사의 전문성에 대한 외부의 수요에 부응하는 한편 언론사 내부의 인사 압력에 대응할 수 있는 수단이다. 피라미드형 시스템에서 조직의 관리자로서는 도태될 수밖에 없지만 양질의 기사로는 얼마든지 기여할 수 있는 중견 기자들의 생존을 담보할 수 있는 장치이다.

기사의 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해 전문화된 인력을 외부에서 뽑아 쓰는 것은 임기응변적이자 불완전한 방편이다. 기자를 신규로 충원하는 경로가 다양해져야 하듯이 전문기자의 충원 통로도 다기화할 필요가 있다. 그런 점에서 얼마 전 데스크를 마친 간부들을 전문기자로 발령한 한 신문사의 케이스는 눈길을 끈다.

전문기자제 도입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상당한 수준에서 인식의 공유가 이루어지고 있다. 일부 언론사들을 중심으로 내부에서 충원하는 관행도 뿌리를 내리고 있다. 문제는 제도의 정착이다.

무엇보다 전문기자를 체계적으로 선발하고 양성하는 프로그램이 마련돼야 한다. 이들을 적절하게 활용할 수 있는 시스템도 만들고,재교육의 기회도 부여해야 할 것이다.

내부에서 발탁하는 제도가 제대로 자리를 잡는다면 내부 출신의 전문기자가 외부에서 영입한 전문가들보다 더 유리할 수도 있다.

데스크나 보직 기자가 되지 않고 일선기자로 남는 데 따르는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는 방책도 필요하다. 전문기자제가 어차피 가야 할 길이라면 ‘가지 않은 길’-데스크에서 돌이켜 전문기자를 선택한 데 대한 적절한 보상 체계가 마련돼야 한다. 가장 확실한 보상은 전문기자제를 정착시키겠다는 의지의 확고하고도 지속적인 실천이다.

전문화라는 시대의 흐름에서 언론이 비켜갈 수는 없다. 기자들도 검증된 관리자로서의 코스에 안주할 게 아니라 앞장서 선례를 만들어 가는 리스크 테이킹(risk taking)의 자세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