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주협회(회장 민병준)가 올해를 신문부수공사 정착의 해로 삼고 ABC제도 참여사와 비참여사를 ‘차별’하는 조치를 취해 나가겠다고 밝혀 주목된다. 언론계에서는 신문사 경영 투명성 제고에 일조할 것이라는 긍정적인 평가와 함께 부수공사 참여 확산 여부 등 향후 여파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민병준 회장은 지난달 27일 정기총회에서 “신문사들이 보다 적극적으로 발행부수를 공개해 상호신뢰를 바탕으로 한 광고거래가 이루어지기 바란다”며 이같은 방침을 밝혔다. ABC제도에 대한 광고주협회 입장은 △신문·잡지 발행부수는 자체 자료가 아닌 ABC협회 공사결과만을 공식 자료로 인정하고 △부수공사를 받는 신문에 광고를 우선 집행할 것이며 △광고주가 신뢰할 수 있는 부수를 바탕으로 한 광고단가만을 인정한다는 것이다. 관련기사 6면
민 회장은 “지금까지 ‘나눠주기식’ 광고집행이 상당부분 있었지만 앞으로는 이를 배제하겠다는 것이 광고주들의 입장”이라며 “올 한해를 중점 추진의 해로 삼아 정확한 데이터에 의해 광고집행이 이루어지는 원년으로 삼겠다”고 설명했다.
광고주협회 산하 신문광고위원회는 이를 위해 회원사들의 광고집행 현황 등을 조사, 취합해 기본 원칙을 마련할 계획이다. 광고주들의 실제 신문사별 광고 집행횟수, 단가 현황을 정리, 구체적인 기준을 마련하고 부수공사 참여사와 비참여사 간 차별화 조치를 강구한다는 것이다. 곽혁 홍보팀장은 “안을 마련하고 실제 집행에 이르기까지는 신문사들의 의견도 수렴하고 필요하다면 학계 용역도 거칠 계획”이라며 “올 한해 역점사업으로 진행한다는 방침”이라고 말했다.
광고주협회의 이같은 방침은 신문사들의 부수공사 참여 문제를 당면 현안으로 부각시키고 있다. 부수에 따른 광고의 차등 배분이라는 문제에 앞서, 부수공사 참여를 광고영업의 전제조건으로 내세운 것이기 때문이다. 신문의 경우 서울지역 10개 종합지를 비롯한 37개사가 ABC협회 회원사로 등록되어 있으나 실제 부수공사를 받아온 곳은 조선일보와 일요신문 2개사 정도다. 동아일보와 중앙일보는 올해 본 공사를 받을 예정이며 매일경제, 스포츠조선, 굿데이 등이 발행사 부수 보고서 제출을 검토 중인 상황이다.
이와 관련 부수공사에 참여하지 않고 있는 한 신문사 경영 관계자는 “발행부수를 공개해야 한다는 점에 대해서는 원칙적으로 동감한다”면서“광고주협회 발표로 외부상황이 달라진 만큼 좀더 구체적인 부수공사 참여 논의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한 지방신문사 판매국장은 “현재 여건에서 부수공개는 신문사간 등급을 명확히 해 지방사의 경우 경영악화를 가중시킬 수밖에 없다”고 우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