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복수 광주일보 총무부장은 “IMF 이후 경영 사정이 악화됐고, 편집국에서 발행하던 월간 예향이 2월호로 휴간하면서 잉여인원이 생겨 감원을 하게 됐다”고 밝혔다. 감원 명단에는 편집국 평기자 7명, 차장급 3명, 부장급 이상 4명과 편집국 전산팀 3명, 총무국 판매국 광고국 등 업무직 사원 6명 등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편집국 기자직 인원은 외환위기 이후 94명에서 66명으로 줄어든 데 이어 또다시 52명으로 감소됐다.
한 기자는 “지난해 10월 임단협 당시 상무이사였던 김형준 사장이 경영 개선을 위해 자산 매각 등 구조조정 방침을 밝힌 바 있었다”며 “올초 김 사장이 취임하면서 구조조정이 본격화된 것”이라고 말했다.
회사측의 구조조정 계획은 지난달 16일 사측이 노사협의회에서 36명을 감원한다는 방침을 밝히면서 구체화됐다. 감원 통보 직후 노조는 지난달 19일 조합원 총회를 통해 ‘감원 불가’ 방침을 정한 바 있으나 ‘감원 규모 최소화’로 방향을 수정했다.
노조의 한 관계자는 “회사 회생을 위해 감원이 불가피하다는 의견도 있었고, 무엇보다 감원을 최소화하기 위해 방침을 바꿨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고액 연봉자가 나간 대신 부족한 인원을 메우기 위해 수습 채용 등을 회사측에 요구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회사측은 감원에 이어 자산 매각, 계열사인 전일산업의 부동산 매각, 광고의 직영 체제화, 신규 수익원 창출 등의 구조조정안을 실행에 옮긴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