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민일보는 우근민 제주지사 성추행 의혹과 관련, 이날 ‘여민회는 테이프를 공개하라’는 사설을 통해 이같은 논리를 폈다. “블라우스 단추를 풀고 맨가슴을 만지려 한 것은 성추행이다. 블라우스 위를 더듬은 정도라면 성추행일 수도 있고, 성희롱 정도에 그칠 수도 있다”는 것이다. ‘블라우스 위로 더듬는 정도’는 큰 문제가 아니며 ‘정상참작’을 해줄 수도 있다는 것으로 읽혀지기도 한다. 제민일보가 사설에서 이 같은 주장을 편 것은 우지사 성추행 의혹과 관련 제주 여민회가 기자회견을 가지면서 “블라우스 단추를 풀었다”고 했으나 피해자인 고모씨가 다음날 기자회견을 직접 열어 “블라우스가 아닌 겉옷 단추를 풀었다”고 ‘수정’한 것을 대단한 ‘사실의 반전’으로 생각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성추행이라고 제목을 뽑은 기자들이 민망하게 됐다”며 “기자들에게까지 ‘오보’ 혐의를 씌운 것을 볼 때 이는 더욱 분명해진다.
사설은 여기서 그치지 않고 ‘논리의 비약’을 거듭하고 있다. 갑자기 ‘선거판 흑색선전’ 얘기로 몰고 간 것이다. 성추행이 있은 뒤 피해자인 고씨가 우지사를 찾아가 나눈 대화내용이 녹음된 테이프를 여민회가 고씨 요청으로 공개하지 않고, 법정에서 공개하겠다는 것에 대해 “선거가 임박한 때 확인 불가능한 선정적 사실을 유포하는 것은 흑색선전의 전형이다”며 “여민회가 테이프 내용을 공개하지 못한다면 흑색선전의 매체로 이용당했다는 의혹을 피하지 못할 것이며, 그 최대 피해자는 도민들”이라고 결론을 내린 것이다. 피해자가 선거와 관련해 성추행 문제를 들고 나왔고, 여기에 여민회가 이용당하고 있는 것일 수도 있다는 ‘의혹’과 ‘심증’을 내 비친 것이다.
제민일보의 이같은 보도는 여성계 등 지역 여론의 즉각적인 반발을 불러왔다. 우선 당사자인 여민회는 26일 “제민일보는 사건의 발단인 우 지사에 대한 책임 추궁은 미룬채 여민회의 기자회견에 뭔가 다른 의도가 숨어 있는 것처럼 보도했다”며 “이는 여민회를 부도덕한 집단으로 몰고 감으로써 사건의 본질을 희석시키려는 또 다른 의도가 숨어 있는 것이 아니냐”고 묻고 여민회의 명예를 훼손한것에 대한 공개사과와 언론 본연의 기능인 정론 보도를 촉구하는 항의서한을 발송했다. 제민일보 기자들 역시 내부에서 “보도된 사설은 객관성과 공공성, 진실성을 잃었다”며 이에 대한 해명을 요구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사설을 쓴 김 모 위원은 “일부 독자들이 강한 불만을 표시하고 있는 것에 유감으로 생각한다”며 “여민회나 기자들의 명예를 훼손하거나 누구의 편을 들기 위함이 아니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