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실태조사 뒤 국가차원 지원책 필요"

경남울산 기자협회 '지역언론 활성화 방안' 토론회

김상철 기자  2002.03.06 14:24:42

기사프린트

투명 경영·신문고시 시행·자구노력 전제







지역언론 정상화를 위한 합리적인 지원책 마련을 위해서는 면밀한 실태 조사가 우선돼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지난달 27일 한국기자협회가 주최하고 경남울산기자협회(회장 한중기)가 주관한 ‘지역언론 활성화 방안’ 토론회에서 김창룡 인제대 신문방송학과 교수는 “정확한 지역언론 실태를 조사할 ‘지역언론실태조사위원회’(가칭)를 만들자”고 제안했다. 조사위원회의 실태조사를 통해 지역언론 지원기준, 지원대상의 등급까지 정할 수 있는 백서를 발간, 지원정책 입안 자료로 활용해야 한다는 것이다.

김 교수는 광고력이 상대적으로 약한 신문에 철도 운송요금이나 전화요금 감면, 지원기금 지급 등의 혜택을 주는 프랑스 사례, 보조금을 직접 지원하는 노르웨이와 스웨덴 사례 등을 거론하며 “조사위원회 백서 내용을 바탕으로 유럽식 직접 지원 형태를 논의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김 교수는 또 “나라마다 차이는 있지만 언론의 지원정책은 분명히 존재한다”며 지원책의 전제조건으로 △투명하고 정확한 경영지표 공개 △개별 언론사들의 자구노력 △신문고시의 정상적 시행 등을 들었다. 프랑스의 경우 △지면의 90% 이상이 뉴스로 구성되고 △발행부수가 25만부를 초과하지 않으며 △광고수익이 총 수익의 25% 이하인 신문사를 대상으로 지원기금이 지급된다.

토론자로 나선 김기태 광주전남기자협회 회장은 “육성책이든 견제 형태이든 지역언론의 난립 양상을 막기 위한 조치가 필요하다는 데 동의한다”며 “지원방안 마련을 위해서는 사주 전횡을 막을 장치와 함께 ‘어떤 신문을 만들 것이냐’에 대한 고민이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회장은 “지난해 9·11 테러사건을 1면 머릿기사로 처리했을 때 오히려 ‘지역신문이 미국의 테러사건을 어떻게 취재했나’ ‘기사 판단 경위는 무엇인가’라는 독자들의 항의가 많았다”면서 “지역언론은 철저히 ‘시골신문’으로 가야 한다는 사실을 재확인했다”고 말했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올 지방자치단체 선거에서 정치개혁과 언론개혁 차원에서 지역언론 문제를 쟁점화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정치와 언론 모두 중앙 집중의 문제를 안고 있는 상황에서 지방자치의 정착은 지역언론 발전으로 직결되기 때문이라는 지적이다.

김영호 전 세계일보 편집국장은 “정치, 경제체제가 철저한 중앙집권 체제 하에서운영돼 온 결과 모든 분야에서 지역사회 발전이 낙후됐다”면서 “이번 선거에서 후보자 자질에 대한 철저한 검증과 지역민의 참여를 이끌어 지역언론 발전의 전기로 삼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전 국장은 도마다 정책적으로 소주업체를 육성한 ‘자도주(自道酒)’ 사례를 거론하며 “여론 독과점의 폐해를 막는다는 취지에서 지역언론 정상화 방안으로 자도주 사례를 참고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