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선기자들은 열 명 중 여섯 명꼴(58.1%)로 언론보도가 전반적으로 공정하다고 보고 있다. 공정하지 않다는 사람들은 41.3%였다. 이같은 응답결과는 최근 언론개혁시민연대(상임대표 김중배·언개연)가 일반 시민들(서울시민 1000명 대상 전화조사, 조사기관 한길리서치)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결과와는 상충되는 것이다. 이 조사에서 시민들은 61.7%가 언론보도 내용이 객관적이지도 공정하지도 않다(객관적이고 공정하다 33.5%)고 답했다. 일선기자들과 시민들이 언론보도의 공정성에 대해 상반된 평가를 내리고 있는 셈이다.
참고로, 일반 시민들은 과반수(57.5%)가 21세기엔 언론보도의 객관성·공정성이 지금보다 높아질 것으로 내다봤다(마찬가지일 것 34.1%, 낮아질 것 4.4%).
언론보도의 공정성에 대한 평가는 직급별로는 간부(공정하다 66.4%, 공정치 않다 32.7%)가 평기자(공정하다 55.6%, 공정치 않다 43.9%)보다, 근무기간별로는 3년차 이하를 논외로 하면 경력이 길수록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공정하다:1~3년차 60.4%, 4~6년차 46.7%, 7~9년차 58.5%, 10~15년차 62.5%, 16년차 이상 65.6%, 공정치 않다:1~3년차 39.6%, 4~6년차 52.3%, 7~9년차 40.4%, 10~15년차 37.7%, 16년차 이상 31.3%). 10년차 이상만큼이나 언론보도의 공정성에 후한 점수를 준 3년차 이하는 문민정부 마지막 해나 국민의 정부 출범 후 기자사회에 입문한 사람들이다. 한편 소속 부서별로는 정치부 기자들이 평가가 높고 조사부·과학부·문화부 기자들이 낮았다.
언론보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집단(세력)으로는 언론사주 및 경영진(39.3%)이 지적됐다. 이들을 지목한 사람들은 일선기자 및 간부(21.0%), 광고주(14.9%), 정부(13.3%) 등을 지적한 사람들보다 2~3배나 많았다. 언론사 단위노조와 각종 압력단체를 지적한 사람들은 각각 4.0%에 불과했다.
언론보도에 영향을 미치는 집단을 사내와 사외로 구분해 보면, 노조를 포함해 일선기자에서 사주에 이르는 사내집단의 영향력(63.3%)이 정부·광고주·압력단체 등 외부세력의 영향력(32.2%)보다 훨씬 강력하다는 인식을 일선기자들은 보이고 있다. 이런 인식의 연장선상에서 언론보도 문제의 해결 역시 외부세력보다 언론인스스로에게달려 있다 하겠다.
영향력 언론사주·경영진이 가장 커
이같은 조사결과는 그러나 일반 시민들의 인식과는 동떨어진 것이다. 시민들은 ‘언론보도가 객관적이지도 공정치도 않다면 누구 때문이라고 보느냐’는 질문에 6할 가까이(58.4%)가 정치권력을 지목했다. 평기자에서 사주에 이르는 언론계 내부자를 지적한 사람들(25.7%)은 그 절반에도 못 미친다(기타 4.3%).
이같은 인식의 괴리는 무엇을 의미하는 걸까?
시민들은 아직도 정치권력 때문에 불공정보도가 이루어지고 있다고 보는 반면, 일선기자들은 공정보도든 불공정보도든 언론 내부의 산물이라는 인식이 더 강하다는 것이다. 일선기자들이 언론보도에 대한 책임을 ‘내부화’하려는 경향의 산물이라고도 볼 수 있겠다.
윤리의식 "언론인이 가장 높다"
언론보도에 영향력이 큰 집단에 대한 인식은 응답자의 속성에 따라 큰 편차를 보였다. 매체별로는 신문기자들이 언론사주·경영진(신문 42.1%, 방송 17.2%)과 광고주(신문 15.3%, 방송 10.3%)를 상대적으로 많이 지적했다. 반면 방송기자들은 정부(방송 29.3%, 신문 11.3%)와 일선기자·간부들(방송 34.5%, 신문 19.3%)을 많이 지적했다. 신문은 사주·광고주의 경제적 통제가, 방송은 정부에 의한 정치적 통제가 강하다는 종사자들의 인식의 반영으로 볼 수 있겠다.
서울·지방별로는 서울은 일선기자·간부들이(서울 22.4%, 지방 18.8%), 지방은 언론사주·경영진(지방 48.8%, 서울 33.9%)이 상대적으로 영향력이 큰 것으로 평가됐다.
직급별로는 간부는 일선기자·간부를(간부 25.5%, 평기자 19.5%), 평기자는 언론사주·경영진을(간부 36.4%, 평기자 40.3%) 영향력이 큰 집단으로 비교적 많이 지목했다. 근무기간별로는 3년차 이하는 정부와 각종 압력단체를, 7~9년차는 광고주를, 7~15년차는 언론사주·경영진을, 16년차 이상은 일선기자·간부를 상대적으로 많이 지적했다. 노조는 대체로 연조가 높을수록 많이 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20대와 40대 이상은 정부를, 30대는 언론사주·경영진을 많이 적시했다. 성별로는 남자는 언론사주·경영진을, 여자는 정부를 많이 지목했다.
21세기 언론의 영향력은 더 커질 것인가?
일선기자들의 전망은 크게 엇갈린다. 3분의 1은 늘어날 것(34.3%)이라고 내다본 반면 3분의 1은 줄어들 것(32.1%)으로 예측했다.나머지3분의 1은 지금과 별 변화가 없을 것(32.9%)이라고 답했다.
반면 21세기 기자의 사회적 지위에 대해서는 과반수(51.4%)가 낮아질 것으로 전망했다(별 변화 없을 것 38.9%, 높아질 것이다 7.3%).
언론의 사회적 영향력의 향방이 어떻게 될진 알 수 없지만, 기자의 사회적 지위가 낮아질 것이란 인식은 공유하고 있는 셈이다.
21세기 언론의 영향력이 커질 것이라는 인식은 지방이 서울보다, 간부가 평기자보다, 신문 종사자가 방송 종사자보다, 남자가 여자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자의 사회적 지위가 낮아질 것이란 인식은 서울(56.2%)이 지방(43.5%)보다, 남자(52.6%)가 여자(44.3%)보다 높았다.
언론인의 직업적 능력에 대해 일선기자들은 낙제점을 주었다. 일선기자들은 언론인의 실력에 대해 10점 만점에 평균 5.39점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점수는 그러나 정치인(3.99점)·공무원(5.19점)·기업인(6.17점)·언론인 중 기업인에 이어 두번째로 높은 것이며 공무원이나 정치인보다 높은 수준이다.
반면 윤리의식면에서는 언론인이 가장 높은 것으로 평가됐다. 일선기자들은 언론인의 윤리의식에 대해 10점 만점에 평균 5.24점을 주었다. 역시 낙제점이지만 공무원(4.71점)·기업인(4.45점)·정치인(2.86점)들보다는 높은 점수다.
기자들의 일반적인 윤리의식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반수 가까이(47.2%)가 보통 수준이라고 답했다. 높다고 평가한 사람들(37.3%)은 낮다는 사람들(15.5%)보다 두 배 이상 많았다.
일반 시민들은 그러나 기자들의 윤리의식에 대해 이보다 훨씬 낮게 평가했다. 일반 시민을 대상으로 한 언개연 조사에서 응답자들은 3분의 2 가까이(63.3%)가 ‘우리나라 기자들은 윤리의식이 낮다’고 답했다(높다 27.2%).
참고로, 일반 시민들은 과반수(54.9%)가 21세기엔 우리나라 기자들의 윤리의식이 높아질 것으로 전망했다(마찬가지일 것 35.9%, 낮아질 것 6.2%).
언론인의 실력과 윤리의식에 대한 평가점수는 응답자의 속성에 따라서는 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반면 기자들의 윤리의식 수준에 대해서는 방송기자들(높다 46.6%, 보통 43.1%, 낮다 10.3%)이 신문기자들(높다 35.8%, 보통 48.0%, 낮다 16.2%)보다 높게 평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적 능력은 "기업인이 최고"
21세기 벽두, 언론의 화두는 언론의 자유인가 언론개혁인가?
일선기자들은열 명중 여섯 명꼴(59.7%)로 언론의 자유보다 언론개혁이 더 절실한 과제라고 답했다. 언론의 자유가 더 절실한 과제라고 답한 사람들은 25.2%였다(어느 쪽이라 말하기 어렵다 15.1%).
참고로, 언개연 조사에서 일반 시민들은 절대 다수(96.7%)가 언론개혁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그렇다면 언론개혁을 위해 지금 가장 시급한 조치는 무엇인가?
일선기자들은 ▷편집권 독립장치를 마련하고(38.1%) ▷대주주의 소유지분을 제한하는 것(30.0%)이라고 답했다. 이들은 ▷시장질서를 정상화하고(16.5%) ▷정부의 간섭을 배제하는 것(11.7%)보다 이들 조치가 더 시급하다고 답했다.
편집권 독립장치 마련이 가장 시급하다는 조사결과는 언론 개혁의 주체 역시 언론인 자신이라는 인식으로 귀결된다. 대주주의 소유지분 제한이나 시장질서 정상화는 사회적 합의와 더불어 정부의 일정한 개입을 전제로 하지만, 편집권 독립장치 마련은 언론인 스스로의 자각과 행동으로만 달성될 수 있기 때문이다. 정부 간섭 배제 역시 사회적인 공감대가 있어야겠지만 언론인들의 공유된 인식과 단결 없이는 기대하기 힘들다.
젊을수록 편집권 독립 장치 중시
언론개혁이 더 절실한 과제라는 인식은 응답자의 속성에 따라 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다만 언론개혁을 위해 가장 시급한 조치에 대한 인식은 차이가 있었다.
신문기자들은 대주주 소유지분 제한(신문 32.2%, 방송 15.5%)을, 방송기자들은 정부간섭 배제(방송 27.6%, 신문 9.6%)를 더 많이 지목했다. 신문은 내부의 경제적 통제를 극복하는 것이, 방송은 외부의 정치적 통제를 물리치는 것이 개혁의 과제라는 인식이다. 직급별로는, 평기자들이 간부들보다 편집권 독립장치의 마련(간부 32.7%, 평기자 39.5%)을 많이 지목했다.
연령별로는 편집권 독립장치의 마련은 대체로 젊을수록, 대주주 소유지분 제한은 30대가 많이 지적한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로는 남자는 대주주의 소유지분 제한과 시장질서 정상화를, 여자는 편집권 독립 장치 마련과 정부간섭 배제를 상대적으로 많이 지적했다.
21세기 기자사회의 이상향은 어디인가?
기자사회에서 우선적으로 퇴출돼야 될 것들을 물어 봄으로써 더듬어 보았다.
일선기자들은 21세기 기자사회에서 사라져야 할 것으로 39.1%가 왜곡·불공정 보도를 첫 손가락 꼽았다. 다음으로는 자사이기주의(17.3%), 권력층등취재원과의 유착(15.5%), 격무(15.1%) 순으로 지목했다. 이들 네 가지 ‘악덕’을 꼽은 응답자들은 절대다수(87.0%)였다. 21세기가 동트는 이 새벽에, 격무가 자사이기주의나 취재원과의 유착만큼이나 많이 지적된 사실은 우리나라 언론의 현주소를 극명하게 드러내고 있다.
기사에 의한 인권침해(4.6%), 오보(4.2%), 촌지(1.8%), 표절(1.2%) 등은 상대적으로 응답률이 낮았다.
21세기에 퇴출돼야 할 것으로 신문기자들은 격무(신문 15.5%, 방송 8.6%)와 자사이기주의(신문 18.1%, 방송 13.8%)를, 방송기자들은 권력층 등 취재원과의 유착(방송 27.6%, 신문 13.9%)을 상대적으로 많이 지적했다. 서울에서는 격무(서울 16.9%, 지방 10.6%)를, 지방에서는 왜곡·불공정 보도(지방 43.5%, 서울 37.1%)를 많이 지적했다.
근무기간별로는 자사이기주의는 연조가 높을수록, 취재원과의 유착관계는 3년차 이하를 논외로 하면 연조가 높을수록 많이 지목했다. 3년차 이하는 16년차 이상보다도 취재원과의 유착을 많이 지목했는데, 이는 최근 드러난 일부 기자들의 정치인과의 유착에 대한 비판과도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직급별로는, 간부는 자사이기주의를, 평기자는 격무를 많이 지적했다. 연령별로는, 격무는 30대 전반 이하가, 왜곡·불공정 보도는 20대를 차치하면 젊을수록, 자사이기주의는 40대 이상을 논외로 하면 나이가 많을수록 많이 지적했다. 권력층 등과의 유착은 20대가 많이 지목했다. 성별로는 남자는 격무와 자사이기주의를, 여자는 왜곡·불공정 보도를 많이 적시했다.
21세기의 문턱에서 일선기자들은 스스로의 자질향상에 가장 필요한 게 무엇이라고 보고 있나?
78.2%라는 절대다수가 전문분야의 개발을 지목했다. 기자사회에 제너럴리스트로서 느끼는 위기감이 팽배해 있다는 것을 방증하는 파인딩이다. 지금 기자들은 전문가가 되고 싶어 한다. 의사로 치면 일반의가 아니라 전문의가 되고 싶다. 국내외 대학에서의 연수(10.3%)에 목말라 하는 것도 스페셜리스트에 대한 욕구와 무관치 않을 것이다.
외국어 교육(4.6%)이나 인터넷 교육(4.4%)에 대한 갈증은 이에 비하면 차라리 미미하다.
자질향상에 필요한 것으로 신문기자들(11.3%)은 방송기자들(5.2%)보다 국내외 대학 연수를 많이 지목했다. 서울·지방별로는 서울은 전문분야 개발(서울 79.6%, 지방 74.7%)을, 지방은 인터넷교육(지방7.6%, 서울 2.9%)을 상대적으로 많이 지적했다.
연령별로는 젊을수록 외국어 교육에 대한 갈증이 심했다. 성별로는 남자는 국내외 대학 연수를, 여자는 전문분야 개발을 많이 희망했다.
일선기자들의 인터넷 마인드는 어느 수준인가? 새 취재원으로서 인터넷은 얼마나 활용되고 있나?
응답자들은 과반수(54.2%)가 기사를 검색하고 이메일을 주고받는 정도라고 밝혔다. 인터넷을 취재원으로서 적극 활용하고 있는 사람들은 3분의 1 남짓(36.1%)인 것으로 나타났다. 약 10%는 인터넷을 업무에 거의 활용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인터넷 활용은 방송기자쪽이, 서울사 기자들이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급별로는 평기자들이 많이 하고 있다. 간부들은 15.5%가 거의 활용하지 않고 있다.
3년차 이하는 과반수(51.0%)가 인터넷을 취재원으로 적극 활용하고 있는 반면 16년차 이상은 21.9%가 거의 활용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연령별로는 젊을수록, 성별로는 여자가 인터넷을 취재원으로 많이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서별로는 과학부·국제부·체육부가 인터넷을 많이 활용하고 있다.
취재기자들이 웹사이트, 이메일로 받는 보도자료·기사제보 등 취재원으로서 전자정보에 의존하는 비율은 평균 27.9%로 나타났다.
취재원으로서 전자정보에 의존하는 비율은 서울사 기자들(평균 29.5%, 지방 24.5%), 평기자(29.4%, 간부 21.9%), 대체로 연조가 낮을수록(3년차 이하 35.6%, 4~6년차 28.2%, 7~9년차 29.1%, 10~15년차 23.6%, 16년차 이상 20.0%), 연령이 낮을수록(20대 33.8%, 30대 전반 28.6%, 30대 후반 24.9%. 40대 이상 23.1%), 여자쪽(남자 27.1%, 여자 33.7%)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부서별로는 과학부(39.7%)·국제부(33.9%)의 의존도가 높았다.
기자협회장 선거에서 후보마다 법률지원센터 개설을 공약으로 내세울 만큼 일선기자를 상대로 한 명예훼손·손해배상 등의 소송이 빈발하고 있다.
소송에 대한 취재기자들의 불안감은 상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 중 취재기자들은 과반수(53.1%)가 본인이 이런 소송을 직접 당했거나(14.0%), 소송을 걸겠다는 위협을 당했거나(23.0%), 또는 직접 위협당한 적은 없지만 위협을 느낀 경험이 있다(16.1%)고 답했다.
직접 소속을 당한 사람들이 14.0%나 된다는 것은 다른 직업집단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현상일것이다.기자사회, 나아가 언론계 차원의 대응이 시급하다 하겠다.
직접 소송을 당해 본 경험은 서울사 기자(16.4%, 지방 9.7%)와 방송기자(20.0%, 신문 13.4%)들이 상대적으로 많았다. 연조가 낮은 데도 불구하고 평기자(15.8%, 간부 6.3%)가 간부들보다 피소 경험이 많은 것은 기자를 상대로 한 소송이 최근 들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는 현상이기 때문이다.
근무기간별로는 자사이기주의는 연조가 높을수록, 취재원과의 유착관계는 3년차 이하를 논외로 하면 연조가 높을수록 많이 지목했다. 3년차 이하는 16년차 이상보다도 취재원과의 유착을 많이 지목했는데, 이는 최근 드러난 일부 기자들의 정치인과의 유착에 대한 비판과도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직급별로는, 간부는 자사이기주의를, 평기자는 격무를 많이 지적했다. 연령별로는, 격무는 30대 전반 이하가, 왜곡·불공정 보도는 20대를 차치하면 젊을수록, 자사이기주의는 40대 이상을 논외로 하면 나이가 많을수록 많이 지적했다. 권력층 등과의 유착은 20대가 많이 지목했다. 성별로는 남자는 격무와 자사이기주의를, 여자는 왜곡·불공정 보도를 많이 적시했다.
21세기의 문턱에서 일선기자들은 스스로의 자질향상에 가장 필요한 게 무엇이라고 보고 있나?
78.2%라는 절대다수가 전문분야의 개발을 지목했다. 기자사회에 제너럴리스트로서 느끼는 위기감이 팽배해 있다는 것을 방증하는 파인딩이다. 지금 기자들은 전문가가 되고 싶어 한다. 의사로 치면 일반의가 아니라 전문의가 되고 싶다. 국내외 대학에서의 연수(10.3%)에 목말라 하는 것도 스페셜리스트에 대한 욕구와 무관치 않을 것이다.
인터넷 적극 활용 3분의 1 남짓
외국어 교육(4.6%)이나 인터넷 교육(4.4%)에 대한 갈증은 이에 비하면 차라리 미미하다.
자질향상에 필요한 것으로 신문기자들(11.3%)은 방송기자들(5.2%)보다 국내외 대학 연수를 많이 지목했다. 서울·지방별로는 서울은 전문분야 개발(서울 79.6%, 지방 74.7%)을, 지방은 인터넷 교육(지방 7.6%, 서울 2.9%)을 상대적으로 많이 지적했다.
연령별로는 젊을수록 외국어 교육에 대한 갈증이 심했다. 성별로는 남자는 국내외 대학 연수를, 여자는 전문분야 개발을 많이 희망했다.
일선기자들의 인터넷 마인드는 어느 수준인가? 새 취재원으로서 인터넷은 얼마나 활용되고 있나?
응답자들은과반수(54.2%)가기사를 검색하고 이메일을 주고받는 정도라고 밝혔다. 인터넷을 취재원으로서 적극 활용하고 있는 사람들은 3분의 1 남짓(36.1%)인 것으로 나타났다. 약 10%는 인터넷을 업무에 거의 활용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인터넷 활용은 방송기자쪽이, 서울사 기자들이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급별로는 평기자들이 많이 하고 있다. 간부들은 15.5%가 거의 활용하지 않고 있다.
3년차 이하는 과반수(51.0%)가 인터넷을 취재원으로 적극 활용하고 있는 반면 16년차 이상은 21.9%가 거의 활용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연령별로는 젊을수록, 성별로는 여자가 인터넷을 취재원으로 많이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서별로는 과학부·국제부·체육부가 인터넷을 많이 활용하고 있다.
취재기자들이 웹사이트, 이메일로 받는 보도자료·기사제보 등 취재원으로서 전자정보에 의존하는 비율은 평균 27.9%로 나타났다.
취재원으로서 전자정보에 의존하는 비율은 서울사 기자들(평균 29.5%, 지방 24.5%), 평기자(29.4%, 간부 21.9%), 대체로 연조가 낮을수록(3년차 이하 35.6%, 4~6년차 28.2%, 7~9년차 29.1%, 10~15년차 23.6%, 16년차 이상 20.0%), 연령이 낮을수록(20대 33.8%, 30대 전반 28.6%, 30대 후반 24.9%. 40대 이상 23.1%), 여자쪽(남자 27.1%, 여자 33.7%)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부서별로는 과학부(39.7%)·국제부(33.9%)의 의존도가 높았다.
소송당한 경험 방송이 신문보다 많아
기자협회장 선거에서 후보마다 법률지원센터 개설을 공약으로 내세울 만큼 일선기자를 상대로 한 명예훼손·손해배상 등의 소송이 빈발하고 있다.
소송에 대한 취재기자들의 불안감은 상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 중 취재기자들은 과반수(53.1%)가 본인이 이런 소송을 직접 당했거나(14.0%), 소송을 걸겠다는 위협을 당했거나(23.0%), 또는 직접 위협당한 적은 없지만 위협을 느낀 경험이 있다(16.1%)고 답했다.
직접 소송을 당한 사람들이 14.0%나 된다는 것은 다른 직업집단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현상일 것이다. 기자사회, 나아가 언론계 차원의 대응이 시급하다 하겠다.
직접 소송을 당해 본 경험은 서울사 기자(16.4%, 지방 9.7%)와 방송기자(20.0%, 신문 13.4%)들이 상대적으로 많았다. 연조가 낮은 데도 불구하고 평기자(15.8%, 간부 6.3%)가 간부들보다 피소 경험이많은 것은 기자를상대로 한 소송이 최근 들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는 현상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