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중앙, 연봉제 일방 시행

노조 "공정한 평가제도부터" 반발

서정은 기자  2002.03.20 13:15:52

기사프린트

중앙일보가 3월부터 간부와 비조합원을 대상으로 완전 연봉제를 도입한다고 밝히자 노조와 일부 간부들이 “공정한 평가제도부터 마련해야 한다”며 반발하고 있다.

중앙일보는 지난 13일 차장 대우 이상 간부와 비조합원의 경우 해당 본부장의 평가에 따라 임금인상률을 차등 결정해 3월부터 적용하겠다고 밝혔다. 차등화된 연봉은 해마다 누적되며 간부들의 경우 부장 3년차, 차장 4년차 등의 근무 연차에 관계없이 고과만으로 임금이 결정된다.

이에 대해 중앙일보 노조는 노보를 통해 “일방적인 연봉제 개편 추진에 반대한다”며 “이번 연봉제 도입은 사실상 중앙일보 소속원 전체의 임금 체계를 뒤바꾸는 사전 절차라는 점에서 보다 면밀한 준비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노조는 이어 “연봉제 도입에 앞서 객관적이고 정밀한 평가제도부터 마련돼야 한다”며 △부서별 업무 강도 및 특성의 반영 여부 △팀별 협업체제로 운영되는 취재부서의 특성과 개인별 평가의 조화 문제 △연 1회인 고과 평가의 확대 여부 등에 대해 충분한 논의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같은 지적에 대해 경영지원실 한 관계자는 “평가제도는 꾸준히 개선·보완해야 하는 사항이기 때문에 최상은 없다. 다만 누가 얼마나 정확하게 평가하느냐가 관건”이라며 “이번에는 평가에 관한 모든 방법과 연봉조정권을 본부장 재량사항으로 위임했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조합원 연봉제 문제는 앞으로 노조와 임금협상을 통해 논의해 나갈 것이며, 편집국 간부들의 경우 인원이 많기 때문에 3월부터 연봉제를 적용할 수 있는지 검토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편집국 간부들은 회사의 완전 연봉제 도입 방침에 대해 구체적인 입장 표명을 피하고 있지만 일각에선 곤혹스러운 표정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편집국 한 차장은 “어떤 기준으로 평가가 이뤄지고 연봉이 책정되는지 모르기 때문에 당황스럽다”며 “완전 연봉제를 도입하려면 피평가자들이 납득할 만한 보다 세부적이고 면밀한 평가 기준이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다른 한 간부는 “외국의 경우는 계약 조건이 마음에 들지 않으면 다른 곳으로 옮길 수 있지만 우리는 스카웃 시장이 잘 형성돼 있지 않아 완전연봉제가 자칫 불평등한 계약을 초래할 위험이 있다”며 우려를 나타냈다.

punda@journalist.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