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약사회(회장 전영구)는 지난 14일자 조선일보 ‘의·약분업 전면 재검토할 때’ 사설과 관련 이달 말까지 사설 등 지면을 통한 공개 사과가 없을 경우 안티조선 운동에 돌입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서울시약사회는 지난 21일 열린 분회장 회의에서 14일자 사설에 대한 공개 사과를 촉구하며 “조선일보가 이를 받아들이지 않을 경우 대대적인 안티조선 운동에 돌입하겠다”고 밝혔다.
서울시약사회는 이에 앞서 지난 19일 회의에서 조선일보 구독 사절 스티커를 일괄 제작 배포키로 결정했다. 조선일보의 공식 사과가 없을 경우 ‘편파보도, 왜곡보도 조선일보를 읽지 않습니다’라는 스티커를 서울지역 5500여개 약국의 출입구 또는 유리창에 부착한다는 방침이다.
조선일보는 14일자 사설에서 “국민에게 불편과 부담만 안기는 제도라면 존재할 이유나 가치가 없다. 미국·일본 등 선진국이 도입하지 못한 사연을 이제라도 헤아려 ‘의무분업’이 아닌 ‘선택분업’으로 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서울시약사회는 이에 대해 “의사와 한나라당에 편향된 논지로 일관하고 있다”고 반발했다.
또 지난 99년 2월 조선일보가 ‘의-약도 이랬다 저랬다’ 사설에서 “일단 실시시기를 정한 이상에는 특별한 사유가 돌발적으로 발생하지 않은 한 그대로 밀고 나가는 것이 정도”라고 언급한 점을 거론하며 “분업에 대한 마인드가 이랬다 저랬다 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서울시약사회는 이 때문에 지난 15일 조선일보를 항의 방문하기도 했다.
전영구 회장은 지난 25일 “조선일보 사설이 의사회 주장 위주로 쓰여졌기 때문에 지면을 통한 공개 사과를 요구한 것”이라며 “조선일보를 한차례 더 방문하고 이달 말까지 움직임이 없으면 안티조선 운동에 돌입하겠다”고 밝혔다.
고학용 조선일보 논설위원은 26일 “지난 15일 약사회측 방문 때 임의선택에 따른 약사들의 피해 우려를 듣고 ‘앞으로 이 문제를 다룰 때 약사회 의견도 수렴하겠다’는 의견을 밝혔다”며 “이후 약사회측에 별다른 입장을 전달받지 못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