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노사가 지난달 29일 공동배달제 시행에 합의한 이후 신문사 노사 합의도 잇따를 전망이다. 지난해부터 공동배달제를 추진해온 언론노조는 언론노련 산하 전국신문통신노조협의회(신문통신노협·의장 이재국 경향신문 노조위원장) 발족과 함께 이같은 활동을 전국적으로 확대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경향신문 노사는 지난달 29일 “신문판매시장 질서 정상화와 공정경쟁을 통한 경영합리화를 위해 추진하는 공동배달제 준비과정과 시행에 참여한다”는 요지의 합의서에 서명했다. 합의서는 △신문공동배달제 실무추진팀과 추진위원회 구성 및 활동에 적극 동참하고 결정사안을 신속히 이행하며 △실무추진팀의 원활한 활동을 위해 소속 추진팀원을 적극 지원한다고 명시했다. 또 △공동배달제가 신문사 경영, 신문의 질적 향상과 언론개혁 등에 중대한 것임을 구성원들에게 꾸준히 설명하고 △추진과정에서 소속 구성원들이 논의에 동참하는 자체 제도를 운영한다고 규정했다.
경향신문에 이어 대한매일 문화일보 한겨레도 이번주와 다음주 중으로 공동배달제 시행에 대한 노사 합의서를 채택할 예정이다. 공동배달제 참여사가 확정되면 참여사 발행인들이 공동배달제 실무추진위원회를 구성하며 실무추진위 산하에는 각사에서 파견한 2명 안팎의 실무진들이 실무추진팀으로 활동하게 된다.
공동배달제 추진은 오는 19일 부산의 국제신문 노조 창립 기념식에 이어 열릴 언론노련 산하 신문통신노협 발족식을 계기로 전국의 지역신문사 차원으로 확대될 전망이다.
이재국 의장은 “이날 신문통신노협 대표자회의에서 공동배달제 추진 특위 구성을 안건으로 상정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 의장은 “공동배달제 시행은 물량경쟁을 지양하고 신문시장의 왜곡된 구조를 바로잡는다는 차원에서 시급한 과제”라며 “연내 일정을 가능한 앞당겨 공동배달회사를 조기에 설립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김용백 언론노조 위원장은 이와 관련 “앞으로 공동배달제는 신문통신노협 중심으로 추진하게 된다”며 “참여사를 확정하고 4월중으로 실무추진팀이 구성되면 공동배달회사 설립 일정도 본 궤도에 오를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