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개의 한국 신문들은 하나같이 정론직필 불편부당의 보도원칙을 외치며 지면에서 기사로서 시시비비를 가리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대통령선거를 앞두고 우리는 한국의 유력신문 지상에서 또다시 구태의연한 뉴스 편집 행태를 목격하지 않을까 의구심을 갖는다.
한 대선 후보가 상대 대선 후보에게 무차별적인 사상공세를 퍼붓는다고 가정해보자. 물론 그 정치적 공세는 “…했다는 의혹이 있다” “…라는 설이 있다” “…지원을 받고 있다는 첩보가 있다”라는 수준이다. 신문들은 ‘카더라’수준의 주의주장을 그대로 중계하는 보도를 하면서 일방적 주장을 인용부호로 감싸면서 큰 제목으로 뽑아준다. 반복되고 중복되는 뉴스는 특정의 이미지를 생산하면서 상대후보는 사상공세의 올가미에 갇히게 되며 부정적 낙인이 찍혀진다. 우리가 낯설지 않게 경험한 선거보도 행태이다.
수차례의 대통령선거를 거치면서 한국의 정치문화는 형평성을 잃었다. 뜬금없는 사상공세의 제기자보다 방어자에게 그 진위여부 관여여부를 해명토록 강요하는 행태를 구축해왔다.
“당신은 빨갱이라는 의혹이 있다”라는 주장 앞에서 그 주장의 진실성 여부를 선검증하는 것이 아니라 지목당한 당사자가 “이러저러 해서 나는 정말 빨갱이가 아니다”라는 것을 의무 해명해야 하는 것으로 변질되어 버리는 것이다. 바로 이러한 편향된 정치문화가 그대로 신문지상에서 반복 연출되지 않을까 우리는 노파심을 갖는 것이다.
사설과 시론에서 특정후보를 지지하지 않는다라고 천명하더라도 특정후보의 주장을 인용부호로 따오면서 큰 제목으로 전진배치한다면 이런 편집 행태를 독자들은 불편부당 공정보도라고 평가해줄까.
한국사회에서 정치적 폭로성 보도자료는 철저한 검증과정을 거친 자료라기 보다는 ‘아니면 말고식’의 치고 빠지기 측면이 강하다. 바로 이런 경우에 신문은 검증기구, 객관적 여과기로서 기능해야 한다. 올바르고 타당한 논리를 갖춘 주장인지를 살피고 그 주장에 상응하는 대답이 나오도록 신문은 취재하고 분석해야 한다.
근대신문의 형태로서 한국의 신문역사도 100년을 넘어섰다. 정치적 굴절과 파동 속에서 신문시장은 지속적으로 성장을 거듭했다. 하루 수백만 단위의 부수를 찍어내는 대형신문도 이제는 여럿된다.
해마다 ‘신문의 날’을 맞이 하면서 느끼는 소회는 늘 다른 것은 아니다.
우리도 세계속의신문시장에서 당당하고 권위를 갖춘 한국의 신문 브랜드를 자랑하고 싶다는 것이다. 신문시장의 소비자인 독자가 누구라도 고개를 끄덕일 수 있는 권위지가 있다면 그 제호는 나라의 자산이며 국민의 자부심으로 자리매김 당연하다.
21세기로 들어서며 신문은 올드미디어로서 그 주도적 위상이 의심받기도 했지만 인터넷을 비롯한 뉴미디어의 도전속에서도 ‘미디어 제왕’의 위치는 강고하기만 하다. 신문이 바로 설 때 한국사회의 건강성이 담보된다. 한국의 신문이 살아있을 때 한국의 미래가 살아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