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우리의 주장] 언론, 후보 모두 사실에 충실해야

우리의주장  2002.04.10 00:00:00

기사프린트

민주당 경선 후보 노무현 씨의 언론관이 도마에 올랐다. 우리가 실시한 대선 예비주자 언론관·언론정책 설문조사(본보 3월 13일자)에서 노무현 씨는 자신의 언론정책에 대해 이렇게 밝힌 바 있다.

‘언론사의 소유 지분을 제한하고 신문 시장의 독과점을 규제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신문시장의 독과점 규제에 대해선 조사에 응한 6명의 예비 주자들 중 유일하게 동의했고, 소유 지분 제한에 대해서는 경선 후보를 사퇴한 한화갑 씨 둘만 찬성의 뜻을 표했다. 그의 이런 정책적 입장은 보기에 따라 급진적이라고 할 수 있고, 그에 대해서는 이런저런 평가가 있을 수 있다. 언론계 안팎에 이들 쟁점과 관련한 다양한 의견들이 있는 것도 사실이다. 노무현 씨는 또 편집권 독립 조항을 정기간행물법에 포함시켜야 한다고 밝혔고, 답보 상태에 놓인 언론발전위원회 구성에 찬성했다.

우리가 보기에 노무현 씨의 언론관은 적어도 불투명하지는 않다. 우리가 이미 지적했듯이 언론관에 대한 검증이 필요한 사람은 같은 당의 경쟁자로 그의 언론관에 문제를 제기한 이인제 씨와, 이회창 씨를 비롯한 한나라당의 경선 후보들이다. 우리가 시도했듯이, 언론매체로서 두 당의 경선 후보들에 대한 검증 차원에서 이들의 언론관을 평가할 필요가 있다면 하면 된다.

문제는 동아일보의 폐간과 일부 신문사의 국유화를 운운했다는 노무현 씨의 발언이다. 당사자인 신문사들은 그가 “말을 바꿨다”고 주장했고, 한 신문은 그의 도덕성 문제까지 제기하고 나섰다. 그 역시 동아일보·조선일보에 대해 “민주당 경선에서 손을 떼라”고 공개적으로 요구하고, 막상 해당 언론사들이 문제를 제기하자 이들의 공세에 대한 불가피한 방어였다고 해명했다. 문제의, 노무현 씨와의 술자리에 참석한 기자들은 국유화 얘기는 나오지 않았다고 확인을 했거나 기억하지 못한다고 밝혔다.

말의 함의와 파장에 비추어 노무현 씨 발언의 사실관계에 대한 규명은 철저히 이뤄져야 한다는 게 우리의 생각이다. 확인되지 않은 말들에 대해, 했다는 가정 위에 당사자의 자유민주주의에 대한 신념까지 재단하려 드는 건 바른 길이 아니다.

경선 후보와 언론사들은 한국 민주주의의 이정표로 기록될 이번 국민 경선을 정치 혐오증의 또 다른 진원지로 만드는 우를 범하지 말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