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일보가 한국의회발전연구회와 공동으로 후보검증위원회를 발족한 데 이어 동아일보도 5월중 후보 검증단(가칭)을 구성하기로 해 관심을 모으고 있다.
조선일보는 지난 18일 9명으로 구성된 후보검증위를 발족하고 16개 시도지사후보 검증에 △비전과 정책 △역량 △업적 △의무수행 등 4가지를, 대선 후보 검증에 △인적 자원과 외부 관계를 추가한 5개 분야를 평가지표로 제시했다. 지난 2월부터 추진된 후보검증위는 의회발전연구소가 위원회 구성과 평가기준 마련 및 시행 등 전반을 담당하고 조선일보는 선거 일정에 맞춘 지면 배정과 후보자 면담 주선 등을 맡고 있다.
조선일보는 첫 ‘적용 사례’로 지난 19일자 신문에 2개 면을 할애, 서울시장 후보 검증 결과를 게재했다. 분야별 내용은 △‘3대 성공과 최대 실패’를 선정한 공과 과 △151명의 전문가들이 답변한 역량 평가 △병역 등 시민의무 △비전과 정책 △후보검증위 총평 등이었다.
오연천 검증위원회 위원장은 “평가지표는 조선일보측과 함께 논의했지만 제반 작업은 전적으로 검증위에서 하고 있다”며 “서울시장 검증의 경우 사전 모임 외에 5차례에 걸쳐 자체 회의를 가졌다”고 설명했다. 검증위는 특히 후보자와 검증위원 간의 1대1 면담을 조사방법의 하나로 채택해 여야 서울시장 후보를 각각 2시간 30분씩 심층 면접하고 검증자료로 활용했다.
한편 동아일보는 한국정책학회와 함께 여야 대통령후보들의 정책과 공약을 비교 검증하기 위한 ‘대선 공약 토론회’를 연속적으로 실시한다는 방침이다. 동아일보는 지난 17일 준비작업의 일환으로 ‘공약분석 모형정립을 위한 세미나’를 가진데 이어 앞으로 △국정의제 발굴 제시(5, 6월) △정당 정책전문가 초청토론회(10월) △대통령 후보 초청토론회(11월)를 실시하고 후보자들의 정책과 자질을 검증한다는 계획이다.
동아일보 정치부 윤승모 차장은 “토론회를 통해 국민적 아젠다를 발굴, 각 후보들에게 제시하고 후보들이 내놓은 공약을 이 기준에 따라 분석하겠다는 취지”라고 말했다. 그러나 윤 차장은 “공약 검증은 후보들이 아닌 참모들이 만드는 것이고 엇비슷한 경우가 많아 한계가 있기 때문에 후보들의 리더십과 자질을 검증할 수 있는 ‘후보 검증단’을 5월중에 구성할 것”이라고 밝혔다. 후보검증단의 구성과 운영에 대해서는 현재 마련 중에 있다는 설명이다.
그러나 이같은 언론의후보검증에 대한 우려의 시각도 적지 않다. 거대 신문의 영향을 받지 않고 검증위가 얼마나 제 역할을 할 수 있을지 의문이라는 것이다.
지난 18일 선거보도감시연대회의(공동대표 성유보 외) 주최로 열린 ‘언론의 후보검증 어떻게 할 것인가’ 토론회에서도 “언론이 검증이라는 이름으로 편파보도를 일삼고 있다”며 조선과 동아의 검증위 구성에 우려를 나타내기도 했다. 토론자로 나선 김서중 성공회대 교수는 “현재 검증이란 이름으로 보도되는 기사들은 검증의 사전적 의미를 넘어선 일종의 낙인찍기”라면서 “우리 사회에서 많은 사람들이 동의할 수 있는 검증기준이 마련돼야 하고 그 기준을 명확히 밝혀야 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