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동아노조 공보위 보고서(요약)

공보위 보고서  2002.04.24 11:44:44

기사프린트

최근 민주당 경선과정을 보도한 동아일보 지면이 공정성과 균형감에 심각한 우려를 자아내게 했다고 판단한다. 사실확인과 의제(어젠다) 설정, 지면배치, 기사제목, 사설·칼럼 등에서 위험수위를 넘는 항목을 어렵지 않게 찾아낼 수 있다.



사실과 주장 구분했나

노무현 경선 후보에게 발언의 진위 여부를 묻고 술자리 참석 기자들에게도 확인취재를 하는 과정을 거치긴 했지만 관련자들의 말은 서로 엇갈렸다.

그러나 동아일보는 노 경선 후보의 발언을 기정 사실로 전제하고 기사와 사설을 게재했다. ‘국유화’ 관련 내용은 없었다는 진술도 나왔지만 공세적인 보도수위는 가라앉지 않았다. 술자리의 의미와 당시 정황 그리고 경쟁후보의 발언을 폭로한 경위 등을 따져보고 독자들이 충분히 공감할 수 있도록 배려하는 자세는 거의 찾아볼 수 없었다. 문제점을 자신있게 검증하고 비판하려면 차분하고 객관적으로 접근했어야 한다.



사설과 칼럼은 불편부당했나

4월 들어 지난 12일까지 노 경선후보를 다룬 사설은 모두 5차례였다. 6차례의 사내 칼럼과 사외 필자의 시론까지 포함하면 11차례다. 노 경선후보의 언론관련 발언이 비판받을 소지가 크다는 점을 인정하더라도 그 빈도가 지나쳤다.

6일자 ‘자유민주원리 깨자는 것인가’와 8일자 ‘노무현후보, 정말 왜 이러나’, 9일자 ‘노무현후보 도덕성 문제있다’ 사설은 제목부터 특정 경선후보에 대한 적대감을 드러냈다. 9일자 사설은 ‘저런 사람이 대권주자가 돼도 좋다는 것이냐’며 단정적으로 불가판정까지 내렸다. 이날 사설에 나온 몇가지 기준이 불가판정의 근거가 될 수 있느냐고 독자들이 되묻는다면 어떻게 답변할 수 있을까.



제목과 기사배치 균형 갖췄나

노 경선후보의 ‘메이저신문 국유화’ 발언이 제기된 5일자 1면 머릿기사 제목은 “집권땐 메이저신문 국유화” 노무현후보 ‘언론발언’ 파문이었다. 6일자는 1·2·3면 등 주요 면을 같은 주제의 기사로 도배하다시피하며 물량공세를 펼쳤다. 노 경선후보가 “동아일보와 조선일보는 민주당 경선에서 손떼라”고 발언한 6일 이후는 불균형의 극치를 달렸다. 8일자 1면 머릿기사 제목은 노무현후보 “동아-조선은 여 경선에서 손떼라” ‘언론자유 부정’ 발언 파장이었다. 노 경선후보의 발언이 정당한지 아닌지를 떠나 이를 언론자유를 부정한 말로 독자들이 공감할지는 생각해볼 일이다.



이념검증 제대로 됐나

이념공세의 옳고 그름이나 시의적절성 등을 따져서 거를 것을 거르기보다는 유력 경선후보의 정치적 계산과 의도가 깔린 주장을 액면 그대로 옮겨 독자들에게 착실하게(?) 전달했다. 결과적으로 ‘이념검증’이라기보다는 ‘이념공세 중계’에 그친 것이 아니냐는 비판이 제기된다. 이념공세의 형평성 문제도 뒤따른다. 이념공세를 주도한 한나라당과 민주당 일부 경선후보의 문제제기 방식, 즉 건전한 이념공방이 아니라 일정 수준을 넘어선 용어를 써가며 색깔론 논쟁으로 몰고간 것에 대한 엄정한 지적은 소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