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조중동'은 하나?

29일자 사설 같은 주제 같은 논조

김동원 기자  2002.05.01 11:10:01

기사프린트

우연이라고 보이엔 너무나 정확했다. 약속을 한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 정도다.

지난달 29일자 이른바 ‘조중동’의 사설 얘기다.

이날 세 개 신문이 각각 게재한 사설 3개의 주제와 배열 순서는 공교롭게도 똑같았다. 조선일보의 이날 사설은 ‘노무현 후보의 ‘과거’ ‘현재’ ‘미래’’, ‘북이 요구하니까 ‘주적’ 삭제인가’, ‘전교조 ‘민주화운동 인정’ 뒤에 남는 것’ 순이었다. 중앙일보도 ‘노무현 후보가 해야 할 일’, ‘주적론, 군사회담에서 풀어야’, ‘민주화운동 평가 성급하다’ 순. 동아일보 역시 ‘노무현 민주당 대선후보’, ‘주적론 삭제 신중해야’, ‘전교조 민주화 인정 문제 있다’였다.(사진 왼쪽부터)

노무현 후보와 관련된 게 첫 번째고 그 다음이 주적론, 마지막 주제가 전교조의 민주화 운동 인정 논란인 것이다.

논조도 비슷했다.

노무현 고문의 대선 후보 확정과 관련한 사설에선 세 신문 모두 검증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주적론’ 사설의 경우도 약간씩 차이는 있지만 이의 삭제나 변경에 대해선 부정적인 입장이었다. ‘현 단계에서는 수용할 수 없다’(조선), ‘이 문제만은 상호주의를 적용하자는 국방부측 입장이 올바르다’(중앙), ‘첨예한 군사적 대치상태가 아직 지속되고 있기 때문에 신중히 접근할 필요가 있다’(동아).

‘전교조 민주화 운동 인정’에 대해서도 부정적이긴 마찬가지였다.

물론 노무현 민주당 대선 후보 확정 건의 경우 정치적 비중이 큰 논제였던 게 사실이다. 같은 날 발행된 조석간 모두가 공히 이를 첫 번째 사설로 다뤘다. 하지만 주적론과 전교조의 민주화 운동 인정 문제를 배치 순서뿐 아니라 논조까지 비슷하게 ‘패키지’ 사설로 다룬 곳은 이들 세 신문뿐이었다.

국민일보도 주적론을 다뤘으나 전교조 민주화 인정 문제는 언급하지 않았다. 문화일보와 세계일보, 한겨레와 한국일보는 전교조 관련 사설을 게재했다. 특히 경향, 문화, 세계, 한국은 ‘조중동’과 같이 이날 3개의 사설을 실었으나 1∼2개 꼭지씩은 주제가 달랐다.

인터넷 신문 프레시안은 이런 ‘조중동’의 사설 게재와 관련해 지난달 29일 ‘조중동이 한통속인 이유?’란 제목의 기사에서 “‘초록은 동색’이라는 말이 무색할 지경”이라며 “한국 사회의 발전과 민주주의를 추구하며 독자를 받든다는 ‘조중동’의 각성이 필요할 때다. 언론의 가장 소중한 가치 중 하나는다양성”이라고 꼬집기도 했다.

김동원 기자 won@journalist.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