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일보 노조 공정보도위원회가 제안한 (가칭)선거보도위원회에 대해 김용정 편집국장이 부정적인 입장을 나타낸 것으로 알려져 구성 자체가 쉽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다.
김용정 편집국장은 아직까지 공보위 측에 선거보도위 구성에 대한 공식적인 답변을 하지는 않았으나 부정적인 의견을 나타낸 것으로 알려졌다.
김 국장은 최근 공보위 간사와 만난 자리에서 “지면 개선을 위해서는 어떠한 건설적인 의견도 검토하고 제도 개선이든 제안이든 수용 가능한 것은 수용하겠다”며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해 달라고 요청했다. 그러나 김 국장은 “기본적으로 편집권(에디터쉽)을 용훼하거나 기존의 조직체계를 무력화하는 제안은 받아들일 수 없다”는 점을 분명히 해 선거보도위 구성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입장을 나타냈다.
공보위은 이와 관련 편집국 기자들의 의견을 수렴한 뒤 ‘선거보도위 구성과 운영 초안’을 마련, 국장에게 전달했으나 아직까지 공식 답변이 없는 상태다. 선거보도위 초안은 간부진과 평기자 간의 수적 균형이 맞게 위원을 구성하고, 회의를 정례화한다는 내용을 골자로 구체적인 사항을 담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진 공보위 간사는 “지난번 공보위 보고서에서 제안한 내용을 구체화한 초안을 마련해 국장에게 전달했다”며 “공식 답변을 기다리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에 앞서 공보위는 지난달 18일 발행한 공보위 보고서를 통해 “오는 양대 선거를 앞두고 부끄럽지 않은 지면을 만들기 위한 내부 논의가 필요하다”며 한시적 기구로 편집국에 선거보도위를 구성할 것을 공식 제안했었다.
한편 동아일보는 최근 동아일보 지면과 편집 제작과정을 비판한 공보위 보고서가 나온 이후 그동안 논란이 돼온 ‘리뷰회의’를 폐지했다. 리뷰회의는 가판이 나온 후 편집국장을 비롯한 이사진들이 참석하는 회의로 경영진의 편집권 간섭이라는 논란이 많았다.
편집국의 한 기자는 “논란이 돼온 리뷰회의를 없앤 것은 이번 공보위 보고서의 문제제기를 어느 정도는 수용한 것”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기자는 “공보위 보고서가 당장 지면 변화를 가져오지는 않겠지만 앞으로 견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오히려 선거 초반에 이런 문제가 발생한 것이 전화위복이 될 수도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