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이 미디어면에서 자사보도 및 판매의 문제점을 잇따라 비판해 관심을 모으고 있다. 경향신문의 이같은 보도는 그동안 언론의 미디어 비평 대상에 정작 자사 보도가 빠져있다는 지적이 제기돼 왔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
지난달 29일자 경향신문 미디어면은 프리덤하우스의 ‘연례 언론자유도보고서 2002’에 대한 보도양태를 다루면서 “각 언론의 보도양태가 자사 이해관계와 시각에 따라 크게 달라 독자들을 어리둥절하게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 기사는 “경향신문의 경우 ‘한국, 지난해 언론자유 신장’이라는 제목 아래 정치적 압력과 통제분야에서 자유가 신장된 측면을 강조하면서 경제적 압력과 통제 분야의 자유위축이 세무조사로 인한 결과라는 설명은 하지 않았다”고 보도했다. “경향신문의 제목만 보면 지난해 한국은 정치와 경제분야 모두에서 자유가 신장됐다는 평가를 받은 것 같은 뉘앙스를 풍긴다”는 것이다.
미디어면은 지난 3월 신문 판매시장의 과열 경쟁양상을 다루면서 자사 실태를 함께 거론하기도 했다. 이 기사는 “동아·조선 및 중앙일보와 경향신문은 6개월 무가지에 발신자 표시 전화기를 제공하고 있었고, 한겨레와 한국일보도 3개월 무가지에 발신자 표시 전화기와 스포츠신문을 각각 끼워 팔고 있었다”고 보도했다.
미디어면을 담당하는 권재현 종합기획부 기자는 “언론 보도가 잘못됐을 경우 타 매체는 물론 자사 지면에 대해서도 똑같이 비판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권 기자는 “자사 비판을 포함한 미디어비평이 활성화하려면 이에 대한 사내 공감대를 이루는 것이 중요하다”면서 “이같은 자세가 독자들로부터 언론의 신뢰를 회복하는 길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상철 기자 ksoul@journalist.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