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일보가 지난달 30일 이례적으로 노무현 후보에 대해 공개 질의 형식의 사설을 실어 배경에 관심이 쏠렸다.
조선일보는 ‘노 후보, 이것이 알고 싶다’ 사설에서 지면을 정계개편·외교안보, 성장·복지·분배 분야로 양분, 노 후보의 분야별 발언의 ‘수사(修辭)’와 현실을 구분해가며 입장을 물었다. 조선일보는 사설을 통해 한·미 관계, 경제관 등과 관련해 ‘수평적이고 대등한 한·미 관계’ ‘경제성장’ ‘경쟁력 있는 나라’라는 발언을 거론, 노 후보의 입장 표명과 검증 필요성을 제기했다. 이 사설은 “듣기 좋은 수사의 모음집 같은 안보 외교정책이 중층적 상호의존 관계에 있는 양자간 현실 속에서 어떻게 구현될 수 있는 지 궁금하다” “복지와 분배에 대한 신념이 ‘경제성장’이라는 또다른 목표와 어떻게 조화할 수 있을 지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고 꼬집기도 했다.
이례적인 형식의 사설 게재에 대해 류근일 주필은 “대통령 지망자의 비전을 자세히 알아서 국민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취지였다. 노 후보가 조선일보에 답변하라는 것도 아니고, 국민들한테 보여주면 되는 것”이라고 말했다. 류 주필은 “앞으로도 물을 일이 생기면 그때그때 사설을 싣겠다”며 “한나라당 대선후보가 확정되면 당연히 같은 취지의 사설을 게재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와 관련 노 후보측의 김만수 공보팀장은 “조선일보 사설은 노 후보가 기존에 밝힌 정책이 아닌, 표현을 문제 삼은 것으로 이를 질문 형식을 빌어 게재한 것은 독자를 오도할 여지가 있다”고 말했다. 김 팀장은 “어떤 언론이든 사설을 통해 주장을 얘기하는 것은 당연하지만, 이같은 식의 사설 게재는 정당하지 못한 방법”이라고 덧붙였다. 김상철 기자 ksoul@journalist.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