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승숙 국민일보 사장은 지난 6일 ‘조간발행 결정에 즈음하여’라는 담화문을 내고 “현 체제로는 국민일보의 성장에 한계가 있다는 의견이 지배적임을 깨달았다”며 “최고경영자로서 시행착오와 혼란에 따른 책임을 통감하며 반성한다”고 밝혔다. 노 사장은 또 “재단이사회는 최근 지면경쟁력 향상, 재정자립도 제고, 부실한 판매망 개선 등을 위해 조간환원이 필요하다고 판단했다. 또 현 발행체제 및 판매망으로는 월드컵대회와 각종 선거보도 등 주요뉴스의 속보경쟁에서 타사에 현저히 밀릴 수밖에 없다”면서 조간 재전환의 이유를 설명했다.
국민일보 노사는 이에 앞서 지난 1일 △조간 재전환 △경력기자 채용 △인적 투자 △올해 임금 동결 등에 합의하고, 지난 5일 이사회에서 조간 재전환을 최종 확정했다. 이로써 국민일보는 지난해 1월 15일 조간에서 석간으로 전환한 지 1년 4개월여만에 조간으로 돌아가게 됐다. 지난 99년 3월 석간에서 조간, 2001년 1월 석간 재전환에 이어 또다시 조간으로 발행체제를 바꾼 것이다.
이번 결정은 석간 전환 이후 이어진 광고물량 감소, 절독률 증가, 경쟁력 저하 등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석간 전환 직전부터 계속된 노조, 지국 등의 조간 재전환 요구도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했다. 지난해 1월 석간전환 반대 파업을 벌였던 노조는 올초에도 “지난해 일방적으로 이뤄진 석간전환이 국민일보의 위상 저하를 초래하고 재정자립에도 도움을 주지 못하는데다 배달망 또한 개선될 조짐을 보이지 못하고 있다”며 조간 재전환을 노조 최대역점사업으로 천명한 바 있다. 이 가운데 지난달 14일 이사회에서 국민일보판매(주)로 전적한 판매부문을 재흡수하기로 결정한 데 대해 노조가 판매부문 흡수의 전제조건으로 조간 재전환을 주장하면서 발행체제에 대한 노사간 논의가 본격화했다.
이와 관련, 편집국 한 간부는 “조간 전환 결정이 지난 2일 국실장 회의에서 처음으로 알려졌다”며 “원칙적으로는 조간 전환에 찬성하지만 갑작스럽게 이루어진 결정이라 준비 기간이 넉넉치 않다”고 우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