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공동배달제 추진위원회가 6월 중 구성될 것으로 보인다. 이같은 방침은 지난 23일 전국언론노조(위원장 김용백) 초청으로 열린 신문사 노사 대표 간담회에서 확정됐다.
이날 참석자들은 △공배제 추진위 참가 대상에 제한을 두지 않고 △연내 공배제 회사 설립에 최선의 노력을 기하며 △가급적 빠른 시일 내 추진위를 구성하고 산하의 실무기구 구성에 공동 참여한다고 합의했다.
간담회에는 김용백 위원장을 비롯해 경향신문 장준봉, 국민일보 노승숙, 문화일보 김정국, 한겨레 최학래, 경인일보 김명수 사장과 각사 지부 위원장이 참석했다. 이들 5개사 노사는 지난 3월 이후 공배제 추진에 합의한 바 있다. 한국일보 박진열 경영전략실장과 임대호 지부위원장은 옵서버 자격으로 간담회에 참석했다.
이날 참석한 신문사 사장들은 공배제 추진 필요성에 원칙적으로 동의하며 추진위 구성을 통한 실천적인 노력을 강조했다.
한겨레 최학래 사장은 “지난해 신문고시 시행 이후에도 신문시장의 혼탁상은 오히려 가중되고 있다”고 지적하며 “공배제 참여사의 폭을 넓히고 시행에 앞서 충분한 사전 논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국민일보 노승숙 사장은 “공배제는 신문 유통질서 정화 차원에서 절실하다. 일단 한 지역을 선정해 시행한 뒤 문제점을 보완해 확대하는 것이 적절하다”는 뜻을 피력했다. 경향신문 장준봉 사장도 “지난 2년간 논의해온 사안인 만큼 이제는 실천에 옮기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하고 “각사별로 취약지구 보다 우수지구를 시범지역으로 선정해 긍정적인 효과를 거두면 다른 신문사들의 참여도 늘어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문화일보 김정국 사장은 “실무추진위 구성 과정에서 판매 책임자들만 참여하면 이해관계가 얽혀 협의가 지연될 수도 있으니 만큼 발행인들의 의지를 직접적으로 반영할 수 있는 인사들로 구성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김 사장은 특히 “실무추진기구에 참여하는 인사에게 전권을 위임할 생각”이라며 공배제 추진에 적극적인 입장을 밝혔다. 경인일보 김명수 사장은 “우리 신문의 경우 서울지역 신문과 부분적인 공배제 시행을 통해 배달비용이 종전보다 30% 절감되는 효과를 거뒀다”며 실효성에 있어서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김용백 언론노조 위원장은 이와 관련 “공배제가 신문산업에 있어 생존의 문제라는 점을 절감해야 한다”며“언론개혁, 신문개혁 차원에서 조속히 도입될 수 있도록 뜻을 모아달라”고 당부했다.
한편 참석자들은 간담회에 함께하지 않은 타 신문사들의 참여를 이끌 수 있도록 노력하기로 했으며 최학래 사장은 “27~30일 열리는 세계신문협회(WAN) 총회 참석 기간 중 타사 발행인들의 참여를 권유하겠다”고 언급했다. 이에 따라 공배제 추진위는 늦어도 6월 중순 경에는 출범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WAN 총회 이후 공배제 도입에 동의하는 신문사 노사 대표는 6월 초 2차 모임을 갖고 추진위 발족 시기와 참여사, 추진위 구성 문제 등을 논의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