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KBS 노조 '예비사원제' 폐지 요구

"사실상 신입사원 차별제" 주장

서정은 기자  2002.05.29 11:41:15

기사프린트

KBS가 지난 99년부터 시행하고 있는 예비사원제도에 대해 폐지 및 제도 개선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1년간 예비사원 과정을 거쳐 우수한 인재를 선발하겠다는 취지는 간데 없고 신분의 불안정성으로 인한 사기저하, 급여와 복지혜택 차별, 간부 눈치보기 등 각종 불만과 폐단만을 낳고 있다는 지적이다.

언론노조 KBS 본부(위원장 박상재)는 지난 21일 발행한 노보에서 “후배들의 정당한 권리를 착취하고 그들의 젊은 활력을 뺏는 행위는 어떤 변명으로도 합리화될 수 없다”며 예비사원제의 즉각 폐지를 요구하고 나섰다. 실제로 1년 후 정식사원으로 발령받지 못한 사람이 거의 없었다는 점에서 예비사원제는 ‘신입사원 차별제’ ‘정식발령 1년 유보제’에 다름 아니라는 것이다.

보도국의 경우 2000년 2월 입사한 26기 기자들은 순환근무로 지역국에 내려갈 때 정사원이 아니라는 이유로 전세지원금을 지원받지 못했고 2001년 3월 입사한 27기 기자들은 휴대전화와 노트북이 1년 가까이 제공되지 않아 큰 불편을 겪었다. 일은 똑같이 하는데도 각종 복지 혜택은 받을 수 없고, 급여 수준도 턱없이 낮아 사회부 경찰기자로 발령받은 예비사원 기자의 경우 택시비와 전화비로 한달 월급이 꼬박 들어갔다는 주장이다.

27기 한 기자는 “타사의 경우 보통 3개월 수습을 마치고 6개월 정도 되면 기자실도 들어가고 소속감도 생기는데 우리는 1년간 신분이 불안한 예비사원이다. 차별도 차별이지만 조직원과 예비사원이라는 것은 기분부터 다를 수 밖에 없다”며 “회사는 다 재임용될 것이라고 말하면서 왜 예비사원제를 운영하는지 모르겠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실제 26, 27기 기자들 가운데 재임용에 탈락된 경우는 없었으며 현재 28기 예비사원 기자들 가운데 일부는 한달마다 실시하게 돼 있는 평가도 제대로 받지 않고 있다. 보도국 한 기자는 “실효성도 없이 미래의 후배들에게 불이익만 주는 잘못된 제도는 당연히 폐지돼야 한다”고 말했다.

임단협 난항으로 파업을 준비하고 있는 언론노조 KBS 본부는 현재 예비사원제 폐지 문제를 주요 요구사항으로 내걸고 있다.

서정은 기자 punda@journalist.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