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가 지난 99년부터 시행하고 있는 예비사원제도에 대해 폐지 및 제도 개선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1년간 예비사원 과정을 거쳐 우수한 인재를 선발하겠다는 취지는 간데 없고 신분의 불안정성으로 인한 사기저하, 급여와 복지혜택 차별, 간부 눈치보기 등 각종 불만과 폐단만을 낳고 있다는 지적이다.
언론노조 KBS 본부(위원장 박상재)는 지난 21일 발행한 노보에서 “후배들의 정당한 권리를 착취하고 그들의 젊은 활력을 뺏는 행위는 어떤 변명으로도 합리화될 수 없다”며 예비사원제의 즉각 폐지를 요구하고 나섰다. 실제로 1년 후 정식사원으로 발령받지 못한 사람이 거의 없었다는 점에서 예비사원제는 ‘신입사원 차별제’ ‘정식발령 1년 유보제’에 다름 아니라는 것이다.
보도국의 경우 2000년 2월 입사한 26기 기자들은 순환근무로 지역국에 내려갈 때 정사원이 아니라는 이유로 전세지원금을 지원받지 못했고 2001년 3월 입사한 27기 기자들은 휴대전화와 노트북이 1년 가까이 제공되지 않아 큰 불편을 겪었다. 일은 똑같이 하는데도 각종 복지 혜택은 받을 수 없고, 급여 수준도 턱없이 낮아 사회부 경찰기자로 발령받은 예비사원 기자의 경우 택시비와 전화비로 한달 월급이 꼬박 들어갔다는 주장이다.
27기 한 기자는 “타사의 경우 보통 3개월 수습을 마치고 6개월 정도 되면 기자실도 들어가고 소속감도 생기는데 우리는 1년간 신분이 불안한 예비사원이다. 차별도 차별이지만 조직원과 예비사원이라는 것은 기분부터 다를 수 밖에 없다”며 “회사는 다 재임용될 것이라고 말하면서 왜 예비사원제를 운영하는지 모르겠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실제 26, 27기 기자들 가운데 재임용에 탈락된 경우는 없었으며 현재 28기 예비사원 기자들 가운데 일부는 한달마다 실시하게 돼 있는 평가도 제대로 받지 않고 있다. 보도국 한 기자는 “실효성도 없이 미래의 후배들에게 불이익만 주는 잘못된 제도는 당연히 폐지돼야 한다”고 말했다.
임단협 난항으로 파업을 준비하고 있는 언론노조 KBS 본부는 현재 예비사원제 폐지 문제를 주요 요구사항으로 내걸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