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의 한 관계자는 “채권단과 부실 경영에 대한 기존 주주들의 책임을 묻는다는 차원에서 감자를 하기로 합의했고, 채권단의 요구대로 출자전환도 일부 이루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일보와 채권은행단은 지난 3월말 사적 화의 기간을 6월까지로 연장했다. 6월까지는 이자율 조정 등 채무조정 협상을 마친다는 계획이었다. 지난 4월 9일 장재구 회장이 채권은행단의 대표격인 한빛은행장을 만난 것을 시작으로 협상은 본격화했다. 양측의 입장 조율도 거쳐왔다. 이를 바탕으로 지난 14, 23일 채권단은 내부 실무협상을 벌였다.
실무협상을 통해 만들어진 안은 △이자율 감면 △출자전환 △부실경영에 책임있는 기존 주주지분 감자 △2006년 12월 31일까지 원금상환 유예 △비영업용 자산 매각 △관계사, 주주대여금 환수 독려 등을 골자로 하고 있다. 채권단 한 관계자는 “이 안은 장재구 회장의 500억원 증자를 전제로 한 것”이라며 “현재 채권단의 품의를 받고 있고, 곧 채권단 안으로 확정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일보와 채권단은 이를 토대로 하되 세부 사항들을 조정한 후 내달 중에 계약을 체결할 것으로 보인다.
이 안에 따르면 이자율의 경우 담보채권은 연 5%로, 무담보채권은 연 3%로 낮추기로 했다. 현재 금융권 부채는 약 3400억원으로, 이중 1400억원이 담보채권이며, 2000억원이 무담보채권인 것으로 알려졌다.
채권단 한 관계자는 “무담보채권 중 37%는 회수하고, 청산가치를 넘는 63%에 대해 원칙적으로 출자전환을 할 계획”이라며 “하지만 액면가로 전액 출자전환할 경우 주식수가 너무 많아지기 때문에 한주당 가격을 액면가보다 높게 계산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또 “출자전환으로 경영권이 채권단으로 넘어올 가능성은 희박하다”며 “주가를 액면가보다 높게 책정해 채권단의 지분을 낮추는 것이 사실상 채무 면제인 셈”이라고 설명했다. 또 당분간 원금상환을 유예하면서 우선 회사를 회생시킨 후 채권 회수율을 높이겠다는 것이 채권단의 방침이다. 하지만 이자율 감면, 출자전환시 주가 조정 등은 특혜로 비칠 여지도 있다.
한편 지난 10일경 미국으로 출국한 장재구 회장은 29일경 귀국할 예정이다. 실제로 500억원을 마련할 수 있을 지가 관심사다.한국일보 한 관계자는 “500억원 도입은 약속한 것”이라며 “하지만 채권단 요구대로 모두 증자에 사용할 지는 결정되지 않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