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반갑다 소신 주장

박주선 기자  2002.06.12 13:01:10

기사프린트

사회적 관심사나 논쟁에 대한 언론의 ‘소신’ 주장이 눈길을 끌고 있다. 중앙일보 권영빈 주필은 이미 일상용어가 된 ‘북한 퍼주기’란 말을 쓰지 말자고 제안했고, 경향 대한매일 한겨레는 사설을 통해 그간 관심의 사각지대였던 진보세력과 관련해 ‘제3후보’에게 관심을 가질 것을 주장했다.





■ 중앙 권영빈주필

‘북한 퍼주기’ 그만 쓰자… 북한 비하 대표적 표현



“북한에 뭘 퍼주었는지 따져보면 퍼주기라는 말을 쓰기엔 부끄럽다.”

중앙일보 권영빈 주필이 대북 지원과 관련 ‘퍼주기’라는 말을 쓰지 말자고 제안했다.

권 주필은 지난 7일 ‘권영빈 칼럼-귄터 그라스의 충고’에서 “‘퍼주기’라는 말은 북한 비하의 대표적 표현방식이다. 징징거리는 북한에 언제까지 퍼주기만 하면서 끌려 다니냐는 비아냥이다”라며 “‘퍼주기’라는 말을 북을 상대로 더 이상 쓰지 말자. 쌀·비료·의료·의약품은 우리가 보낼 수 있는 능력의 범위 안에서 아무런 조건 없이 북에 보낸다는 합의를 일궈내자”고 제안했다. “거덜난 은행 하나 살리는데 몇조원을 쏟아부으면서 굶주림에 죽어간다는 동족에게 쌀 몇십만톤을 보냈다고 퍼주기 운운하며 대가를 요구한다면 낯뜨거운 일”이라는 것이다.

권 주필은 이어 “북한 사람을 동등한 시민으로 존중하라는 독일 작가 귄터 그라스의 충고에 귀기울여… 고통받는 친척을 위해 최소한의 도리를 하고 그 다음 경제·군사협상과 통일방안을 논의하자. 북의 식량난이 해결된 다음 그때도 협상에 제대로 응하지 않는다면 그들의 무례와 도리를 따지자”고 덧붙였다.

‘퍼주기’ 용어를 쓰지 말자는 제안과 관련 권 주필은 “2년 전에도 대북 지원을 생색내지 말자는 취지의 칼럼을 쓴 적이 있다”며 “남과 북이 서로 돕는 길을 찾아 화해와 협력을 이루면서 시간을 두고 통일의 길을 논의해야 하는데 별로 주지도 않으면서 생색내는 것은 부끄럽다. 또 지원 받는 입장에서는 열등감이 있을 텐데 이를 ‘퍼주기’라는 말로 자꾸 자극하고 부각시켜선 안된다”고 강조했다.

서정은 기자 punda@journalist.or.kr





■ 경향 대한매일 한겨레

‘제3후보에 관심을’… 지방자치 취지에 부합



경향신문 대한매일 한겨레는 사설을 통해 “제3후보군의 출현은 풀뿌리 민주주의의 근본 취지에 걸맞다”며 이들에게 관심을 갖자고 주장했다.

대한매일은 지난 7일자 ‘제3후보에게관심을’이라는 제목의 사설에서 “풀뿌리 민주주의의 근본 취지를 살리는 방향에서 제3후보에게 따뜻한 배려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제3후보군이 내거는 이슈가 지방선거의 원래 취지에 부합하고, 일부 지방행정의 난맥상에 제동을 걸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고 기존 중앙당의 통제와 영향력에서 벗어나 자율성을 확보할 공간이 넓어진다”는 것이다.

대한매일은 그러나 “군소후보들이 기존 거대 정당 후보에 비해 선거자금면에서는 말할 것도 없고, 언론의 외면과 TV토론회 참여 기회의 차별, 선거법상 제약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지적했다.

경향신문은 지난 29일자 사설 ‘제3정치세력을 주목한다’에서 “우리가 이들의 출마를 반기는 것은 지방자치의 원래 취지에 걸맞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사설은 그 이유로 “제3정치세력은 지역사회와 주민자치의 발전을 위해 다양한 공약을 내세우고 주민의 심판은 그대로 주민참정권의 확대와 연결된다”며 “이는 지방정치를 중앙정치와 분리하는 중요한 전기를 마련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한겨레는 지난달 27일자 사설에서 “보수정당 일색이었던 정치무대가 외형상 보수와 진보의 대립구도를 갖추게 된 것”이라며 제3세력 등장의 의미를 찾았다.

사설은 또 “시민활동가들이 독자적 후보를 세우기로 한 것도 주목할 만하다”며 “지역 현안에 밝고 기성정치의 어두운 관행에 물들지 않은 활동가들이 지자체의 정책 결정 과정에 일상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길이 열린다면 정치발전의 촉매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박주선 기자 sun@journalist.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