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포 인천 등 몇몇 시청 공무원직장협의회(공직협)와 출입 기자단이 브리핑룸 또는 기자실 폐쇄를 놓고 갈등을 빚고 있다. 이 과정에서 공직협이 출입기자들과 합의없이 강제폐쇄 등 실력행사에 나서면서 감정대립 양상까지 벌어지고 있다.
목포시청 공직협은 지난달 26일 오후 브리핑룸 문에 드릴을 이용해 자물쇠를 달고 출입문에 ‘기자실 폐쇄’라는 안내문을 붙였다. 시공직협은 성명을 통해 “각종 비리의 온상이 되고 있는 기자실을 폐쇄하기 위해 기자실 자진 반납을 요청했으나 기자단이 이를 외면했다”며 “기자실을 폐쇄했다고 해서 시청이 기자들의 출입자체를 막자는 것은 아니다”라고 밝혔다.
출입기자들은 이에 대해 “시가 언론 감시에서 벗어나려는 의도 아니냐”며 반발하고 있다. 기자단 대표인 김상원 광주타임스 부국장은 “기자단의 제안으로 지난 4월 기자실을 브리핑룸으로 바꿔 일부 기자들만 사용하던 폐쇄 공간을 열린 공간으로 활용해왔다”며 “상주 기자도 12명에서 24명으로 늘었고, 시민단체의 기자회견도 자주 열렸는데 공직협이 물리적 힘을 동원해 브리핑룸을 폐쇄한 것은 언론의 견제 기능을 막겠다는 정면 도전”이라고 주장했다.
기자단은 지난달 27일 성명을 내고 “지역 사회단체와 주민 그리고 언론인을 위해 유일하게 개방한 시청내 공간을 강제 폐쇄함으로써 스스로 시민의 공복임을 포기했다”며 “시 집행부와 공직협이 결탁해 시민들과 언론의 감시에서 벗어나겠다는 음모적 발상이 있는지 우려된다”고 밝혔다.
인천시청에서는 시공직협이 기자실을 폐쇄하기로 해 기자들의 반발을 사고 있다. 공직협은 지난달 20일 기자단측에 기자실 반납을 요청했으나 기자들이 거부하자 지난달 26일 “자진반납하라”는 현수막과 안내문을 청내와 기자실에 부착했다.
황치성 시공직협 언론특위 간사는 “기자실을 브리핑룸으로 전환하고 순기능을 살리자는 것은 지난해 12월 시와 합의한 사항”이라며 “오는 4일까지 자진반납하지 않으면 강제철거에 들어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인천시청 중앙기자실 출입기자단은 “기자실 폐쇄 요구 벽보와 현수막 설치는 시청 출입기자들이 엄청난 비리를 저지른 듯한 인상을 주는 등 기자들의 명예에 손상을 입혔고, 직장협 공무원들이 기자실에 진입한것은 엄연한 업무방해”라는 내용의 통고문을 공직협으로 보내는 등 반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