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와 채권은행단이 체결하기로 한 기업개선약정서의 전제조건인 완전감자를 위한 주총이 주주들의 불참으로 무산됐다.
한국일보는 지난달 28일 완전 감자를 위한 주주총회를 소집했으나 최대주주인 장중호 사장측(49.1% 보유)의 불참으로 주총은 개최되지 못했다. 이날 오후 3시에 열릴 예정이었던 주총장에는 주총 의장인 장명수 한국일보 사장과 각각 9.4%의 지분을 갖고 있는 장재구 한국일보 회장, 장재민 미주한국일보 회장의 위임장을 받은 배봉휘 부사장과 윤국병 부사장만이 참석했다. 오후 6시경까지 주총 개최를 위해 한국일보와 장중호 사장측간의 막후 접촉이 진행됐으나 결국 이견을 좁히지 못해 주총은 무산됐다. 한국일보는 이날 이사회를 열고, 오는 15일 주총을 다시 개최하기로 했다.
현재 장재구 회장과 장중호 사장은 완전감자를 놓고 이견을 보이고 있다. 장중호 사장으로선 완전감자가 이루어질 경우 한국일보에서 완전히 손을 떼야 한다. 올 초 한국일보의 회생을 위해 장 회장 영입 당시 지분과 경영권을 넘겨주겠다는 합의를 했지만 완전감자라는 조건은 없었다는 게 장 사장측 주장이다. 그러나 무조건 완전감자를 반대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장 사장은 일간스포츠의 독자적인 생존을 위한 제반 여건을 마련해 달라는 조건을 달고 있다. 지난해 일간스포츠 분리 당시 “한국일보를 살리기 위해 일간스포츠의 양수도대금(758억원)을 과다하게 책정했다”며 “이를 재조정해 달라”는 게 그 중 대표적이다.
주총 하루 전날인 지난달 27일 장 사장의 제의로 양측이 만난 자리에서 장 회장은 이같은 요구에 대해 “들어줄 수 없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지난달 28일 장 사장이 주총장에 사전 통보없이 나오지 않은 것도 그런 이유에서다.
문제는 주주간 갈등으로 출자전환 등 한국일보 회생의 전기를 마련할 채권단 합의안이 무산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채권단 관계자는 “기업개선약정의 전제조건인 감자 동의가 예정대로 시행되지 않아 유감”이라며 “일단 15일 주총을 지켜본 뒤 감자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채권단 회의를 소집해 논의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감자 없이는 출자전환을 실시할 수 없고, 최악의 경우 한국일보와의 기업개선약정서도 체결할 수 없다”고 말했다.
한국일보 한 관계자는 “장 사장측이 끝까지 감자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장 회장이 증자를 통해 2/3 이상의 지분을보유하고 감자를 추진하는 것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일간스포츠 관계자는 “양측이 여러 가능성에 대해 검토하지 않겠느냐”며 “현재로선 어떤 전망도 할 수 없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