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조선 대북보도 이중잣대 있나

김상철 기자  2002.07.10 00:00:00

기사프린트

정부 소극대처 맹공… 확전 가능성은 축소

금강산댐 공사는 ‘증축’ 단정… 위험 부각





대북보도를 둘러싼 조선일보의 이중잣대가 도마에 올랐다. 조선일보는 서해교전과 관련, 확전 가능성은 축소·반박하는데 집중한 반면 금강산댐에 대해서는 보강공사와 증축 가능성을 놓고 증축으로 사실상 규정, 보도했다. 사안에 따라 또다른 가능성을 축소하거나 확대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조선일보는 서해교전 당시 정황과 관련, 확전 가능성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분석을 내놓았다. 지난 6일자 ‘군 확전위험론 부풀렸나’ 기사에서는 △북 함대가 보유하고 있는 미사일은 낡고 성능이 떨어진 것이었고 △당시 북한 미사일 레이더 가동은 교전이 끝날 무렵이거나 끝난 뒤였으며 북측의 특이한 움직임도 없었기 때문에 확전론의 근거가 취약하다고 보도했다. 같은날 사설에서도 “북한이 미사일 레이더를 발동한 시각도 서해교전이 끝났거나 종료 직전이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결국 군 지휘부가 패전 책임 회피용으로 북한 미사일 위협을 이용하고 있다는 비판이 가능하다”고 언급했다.

이같은 보도태도는 경향신문 한겨레 한국일보 등이 관련 기사나 사설을 통해 ‘서해대전’이나 ‘미사일 위협론’의 가능성을 우려하고 확전 시나리오 등을 제시한 것과는 대조적인 것이다.

반면 북의 금강산댐 공사 재개의 경우 조선일보는 4일자 1면 첫 보도부터 ‘북 금강산댐 증축 시작’이라고 단정해 보도했다. 건설교통부는 이와 관련 “북한이 금강산댐 훼손 부분에 대한 보강공사를 벌이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증축 여부는 확인된 바 없다”고 밝혔다. 그러나 조선일보는 “위성사진을 판독한 전문가들은 현장에 새로 설치된 구조물들로 볼 때 댐 증축공사를 시작했을 가능성이 높다는 의견을 내놓고 있다” “금강산댐이 예정대로 증축될 경우 저수량이 현재 12억t에서 26억t으로 늘어나기 때문에 붕괴시 남한측에 엄청난 피해를 줄 것이라고 경고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취재기자는 이와 관련 “금강산댐 관련 보도에 대해 정부는 ‘확인해줄 수 없다’는 입장을 반복해왔지만 나중에는 대부분 사실로 드러났다”며 “취재결과 이번 공사재개는 사실상 증축으로 판단해 보도한 것”이라고 말했다.

조선일보의 이같은 사례는 확전 가능성에 대해서는 소홀한 반면 금강산댐의 증축은 사실상 단정적으로 보도한 것으로, 대북 관련 보도잣대가일관적이지 않다는 지적을 사고 있다.

김재홍 경기대 정치대학원 교수는 “조선일보 등 보수지들이 대북 문제와 관련해 사안에 따라 편의적인 접근을 하는 경향이 있다”고 언급했다. 김 교수는 “확전 여지가 없었는데 군이 제대로 대응하지 못했다는 식으로 강경하게 비판하다가 금강산댐 증축으로 북측의 도발의도를 증폭하는 것은 보도기준이 일관돼 있다고 보기 힘들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