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출입기자 출신의 현직 기자가 청와대 출입기자단 운영에 대한 논문을 발표해 화제가 되고 있다. 강동훈 불교방송 정치부 기자는 최근 발표한 석사논문 ‘청와대 출입기자단 운영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에서 청와대 출입기자 33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청와대 공보수석실과 출입기자단 운영의 문제점을 살피고 개선방안을 제시했다.
▲청와대 공보수석실 문제점·개선방안=논문에 따르면 청와대 출입기자들은 청와대 공보수석실의 취재활동 지원을 강화하고 시간적으로 취재가 제한돼 있는 대통령 비서실 취재시스템의 보완을 희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와대 공보수석실의 대 언론 취재 활동 지원에 대해 출입기자들의 57.6%가 ‘부족하다’, 6.1%가 ‘매우 부족하다’고 답했으며 ‘대체로 만족한다’는 경우는 36.4%였다. 기자들은 △충분한 취재시간을 조성하지 않고 △민감한 내용에는 취재에 응해주지 않는다는 점을 가장 큰 이유로 꼽았다. 출입기자들은 또 대통령 비서실 취재시스템에 대해 ‘과거처럼 출입기자에 한해 완전 개방’(36.4%) ‘현 취재시스템의 보완 필요’(33.3%) 등 대부분 만족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완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기자들은 △출입시간과 관계없이 관련 비서관들과 접촉할 수 있도록 제도화하고(45.4%) △브리핑 이후에도 수석비서관들이 기자실에서 보충취재에 응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54.5%)고 지적했다.
한편 출입기자들은 청와대 대변인의 각종 브리핑에 대해 대부분 ‘비교적 신뢰한다’(72.2%) ‘적극 신뢰한다’(6.1%)고 응답했으며 ‘불신한다’는 응답은 21.2%였다. 불신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사실대로 답변하지 않고 △청와대측에 유리한 정보만 제공한다고 답했다.
이와 관련 강 기자는 “청와대 대변인과 비서관은 브리핑 이후 기자들의 보충취재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고, 홍보성 짙은 유리한 보도자료만 제공하는 것을 지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청와대 출입기자단 운영 문제점·개선방안=출입기자들은 풀 기자단 운영에 대해 78.8%가 ‘존속돼야 한다’고 응답했으며 21.2%는 ‘개선돼야 한다’고 답했다. 지방기자단의 풀 기자단 가입에 대해서는 ‘현행대로 운용해야 한다’(51.5%)는 의견이 ‘가입시켜야 한다’(42.4%)는 의견보다 조금 앞섰다. 엠바고 제도에 대해서는 ‘충분한 사전협의와 구체적 명시가 있어야 한다’(72.7%)는 의견이 많았고 6.1%는 ‘엠바고 자체를 없애야 한다’고 응답했다. 미국의 백악관 취재시스템인 룸 브리핑 제도 도입에 대해서는 45.5%가 ‘전적으로 도입해야 한다’고 찬성했으며 33.3%는 ‘부분적 개선을 통해 도입해야 한다’고 답했다. ‘현실에 맞지 않다’며 반대한 의견도 21.2%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 강 기자는 중앙 기자단 중심의 풀 취재 방식 개선, 엠바고 관행 개선, 룸 브리핑제도 도입 등을 대안으로 제시했다. 강 기자는 “청와대 출입기자단 운영 형태는 국민의 알권리와 언론사간 공정 경쟁, 올바른 국정홍보에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개선돼야 한다”며 “인터넷 매체, 주·월간지, 지방 방송사에게도 점진적으로 출입기자실을 개방하고 중앙 기자단 중심으로 운용되는 풀 기자단을 확대해 기자단 내부의 폐쇄성을 개선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룸 브리핑 제도에 대해서도 “현재의 출입기자단 제도는 유지하되 중앙기자실에서 브리핑하는 관례를 없애고 룸 브리핑으로 전환해야 한다”며 “청와대 대변인의 정례 브리핑이나 특별 사안의 경우에도 청와대가 취재를 허가한 모든 언론사를 대상으로 룸 브리핑을 실시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강 기자는 이어 “엠바고와 오프 더 레코드는 국익과 안전, 외교 관례의 문제가 아니라면 지킬 필요가 없다고 본다”며 “청와대 출입기자단 내부에서 명확한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