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4일 오후 6시경 프레스센터 13층 신문협회 사무실 앞에 서울과 인천 경기 지역 50여명의 중앙일보 지국장들이 모여들었다.
이들은 지난달 27일 전후 본사의 지대납입금 인상 통보에 항의하며 즉각 철회를 요구하고 있었다. 지국장 대표 5명은 중앙일보에서 권태정 이사와 협상을 벌였고 나머지 참석자들은 발행인인 홍석현 회장이 부회장으로 있는 신문협회에서 결과를 기다리는 중이었다.
신문협회에 모여든 지국장들은 적게는 구독부수 당 500원에서 많게는 1000원대의 지대인상을 통보 받았다. 이들은 “과당경쟁으로 인한 고가 경품 사용과 확장비 증가, 무가지 장기화 등으로 인해 확장비용은 증가하는 반면 수금부수는 날로 줄고 있어 지대납입금 인상 결정을 받아들이기 어렵다”고 입을 모았다.
한 지국장은 “본사에서는 구독료가 2000원 올랐으니 인건비나 지국 운영비에 반영하라고 하지만 그건 어디까지나 본사 계산일 뿐”이라고 말했다. “매달 자연 감소분이 100∼200부 정도인데 신문대금 인상하면 절독율은 더 높아집니다. 현상유지라도 하려면 돈을 들일 수밖에 없고, 300부 확장하는데 2000만원 사라지는 건 순식간입니다.”
또다른 지국장도 ‘적자운영’을 한탄하기는 마찬가지였다. “할당부수를 채우면 본사에서 부당 3만원 정도의 지원금이 지급되지만, 인건비 배달비 경품 등 자연 감소분 채우는데 나가는 비용은 더 많습니다. 300만원의 지원금을 받았다고 쳐도 이미 판촉비용으로 배 이상의 돈이 나간 꼴이죠.”
이날 지국장들의 ‘집단행동’은 매달 본사에 납입하는 지대 인상 결정으로 촉발됐으나 판매시장의 고질적인 판촉경쟁과 일상적인 지국 운영난의 한 단면을 보여주는 사례였다.
지국을 운영한 지 2년이 됐다는 한 지국장은 현재의 살림에 대해 이렇게 말했다.
“이제 부수도 안정적으로 유지됐고 수지도 좀 맞는다 싶었는데 따져보니 3500만원 빚만 남아 있었습니다. 앞으로 어떻게 살아보려나 하는데 다시 지대를 인상한다니 답답한 노릇입니다.”
한편 중앙일보는 통보된 지대 인상분에 대해 이의신청을 하면 심사 및 실사를 거쳐 재조정을 검토하겠다는 입장을 지국장들에게 전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