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가 지난 12일 장상 총리서리의 장남 국적 문제를 초판에 보도했다가 시내판에서 삭제했다. 같은 날짜 경향신문, 대한매일, 동아일보, 한겨레 등이 이를 시내판부터 1면 또는 사회면에서 비중있게 처리하거나 세계일보가 1면 사이드 톱(초판)에서 머리기사(시내판)로 대체한 것과는 대조적이었다.
한국일보는 지난 12일자 초판에서 “장상 국무총리서리가 장남에게 한국 국적을 포기시키고 미국 국적을 취득하도록 한 사실이 확인돼 자격논란이 제기되고 있다”고 보도했다.
사회부 한 기자는 “장 총리서리의 장남이 군면제를 받은 것은 이미 알려진 사실이었지만 경위가 불명확해 취재에 들어가게 됐다”며 “이날 오후 장 총리서리에게 장남 국적 문제를 직접 확인해 기사화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 또 “사회 저명인사가 아들의 한국 국적을 포기했다는 것은 문제가 있고, 보도가치가 있다고 생각했다”며 “타 신문이 이를 시내판에서 받아쓴 것과 반대로 왜 뺐는지 이해할 수 없다”고 말했다.
내부에서는 초판 발행 직후 장상 총리서리와 이화여대 동문 사이인 장명수 한국일보 사장이 사회부로 “기사가 사실이냐. 장 총리서리 아들이 장애를 갖고 있다”는 전화를 한 것으로 드러나 기사 삭제에 직간접적 영향을 준 게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되기도 했다.
이에 대해 이준희 사회부장은 “초판 발행 이후에 장 총리서리 아들에 대한 잘못된 정보가 들어와 벌어진 해프닝”이라며 “아들이 사회생활을 하기 힘들 정도로 중증 장애를 가졌다는 정보를 듣고 미국의 장애인 시설, 교육 등을 감안해 국적을 문제삼는 것은 도리가 아니겠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이 부장은 또 “사회부 자체 판단이다. 장 사장 전화와 기사 삭제는 무관하다”며 “압력이 있었다면 다음날 잘못된 정보였음을 알고난 뒤 장 총리서리에 대한 비판적 보도를 강화할 수 있었겠느냐”고 밝혔다.
장명수 사장은 “장 총리서리 아들이 미국 국적을 취득한 데는 개인 사정이 있다고 들어 충분히 취재를 한 것인지 물어봤다. 기사를 빼라거나 줄이라는 뜻은 아니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