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장재국 봐주기' 누가 개입했나

한국일보 로비·정권차원 봐주기 의혹 풀어야

박주선 기자  2002.07.18 10:51:10

기사프린트

풀지 않은 것인가. 풀 수 없었던 것인가.

97, 99년 ‘장존 의혹’에 대한 검찰의 두 차례 수사는 장존이 장재국 전 한국일보 회장이라는 것을 밝히지 못한 채 끝났다. 5년 뒤 검찰은 수사착수 세 번만에 “장 전 회장이 장존”이라는 사실을 규명했다.

검찰은 지난 10일 청구한 구속영장에서 “장 전 회장이 95년 8월 12일 미국 라스베이거스 미라지 호텔 카지노에서 장존이라는 가명으로 도박을 한 것을 비롯, 96년 3월 2일까지 총 344만5000달러를 차용해 도박했다”고 혐의 내용을 공개했다.

이번 수사 결과는 97, 99년 검찰의 축소수사 의혹을 짙게 하고 있다. 당시 수사검사 얘기와 “로라최가 97년 검찰에서 장존이 장재국씨라는 진술을 했다”는 일부 언론보도 및 로라최 진술은 여전히 엇갈리고 있다.

검찰 주장대로 로라최가 그런 진술을 하지 않았다면 다른 수사 방법은 없었을까. 당시 최창식 씨가 수사의 실마리를 풀어줄 수 있었을 것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로라최 리스트에는 10만 달러의 최창식씨 채무를 장존이 변제하도록 했다. 당시 최씨는 장 전 회장의 비서실장이었다. 최씨에게서 장존과 장 전 회장 관계에 대한 결정적 단서가 나올 수 있었던 것이다. 97년 수사팀은 당시 최씨에 대해 전혀 몰라 조사를 하지 못했고, 99년 수사에서는 최씨를 소환했지만 부인하는 바람에 물증을 잡을 수 없었다고 한다.

이같은 정황을 볼 때 과거 검찰 수뇌부나 정권 차원의 봐주기가 있었을 것이라는 의혹이 제기되는 것은 당연하다. 97, 99년 당시 한국일보가 법조 출입기자, 청와대, 법조 인맥을 가진 사내 인사를 동원해 구명 로비에 나섰던 것은 이런 의혹을 뒷받침하고 있다. 97년 당시 검찰총장이었던 김태정씨가 한국일보 한 간부와 특수관계라는 것도 잘 알려진 사실이다.

한국일보 한 기자는 “누가 어떤 사람을 만나 어떻게 로비를 했는지는 모르겠지만 이전 수사 때 청와대나 법조 인맥을 가진 기자, 간부들이 총동원됐던 것은 사실”이라고 말했다. 99년 말지는 청와대 사정에 밝았던 이의 말을 인용해 “한국일보 한 고참기자가 경영진의 오더를 받고 청와대 사정수석, 비서관을 수차례 만나 장 회장 건을 논의한 것으로 안다”고 보도하기도 했다.

또 언론 보도와 관련, 말지 당시 관계자는 “99년 한국일보 로비는 대단했다”며 “기사가 나가는 것을 알고 편집국장 등 간부들이 직접 찾아와 장존 의혹을부인하면서 보도하지 말 것을 요구했고, 인쇄 직전에는 시경출입 기자가 인쇄공장에 찾아왔었다”고 설명했다. 99년 당시 한겨레 사회부 관계자도 “한국일보가 보도를 막기 위해 여러 인맥을 통해 한겨레 간부진에게 로비를 시도했다”고 밝혔다.

언론노조 한 관계자는 “정권 차원의 비호가 없었다면 검찰이 그대로 덮었을 리 없다”며 “97년에는 청와대 ㅂ씨가 김영삼 전 대통령에게 보고를 했고, 99년에는 현정권 실세가 봐주기에 나섰던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검찰 수사는 마무리되고 있지만 과거 수사에 대한 의혹은 끊이지 않고 있다.

박주선 기자 sun@journalist.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