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11 개각을 앞두고 언론들이 개각의 폭과 대상, 후임 관료에 대한 예측 기사를 무수히 쏟아냈으나 대부분 빗나가는 ‘참패’를 기록했다. 언론들은 국무총리를 비롯해 문화관광·국방·법무·정보통신부 등 교체대상 부처를 관측하며 각 부처마다 후임 관료로 거론되는 인사들의 이름을 보도했으나 거의 빗나갔다. 몇몇 언론이 국방부 장관 후임으로 이준 전 1군사령관을 언급한 것 정도가 눈에 띈다. 일부 언론은 또 방용석 노동, 김동태 농림, 한명숙 여성부 장관 등의 교체 가능성을 점치고, 이근식 행정자치부 장관이 교체대상 ‘1순위’로 거론된다고 보도하기도 했으나 역시 빗나갔다.
이에 대해 청와대 출입기자들은 이번 개각이 DJ 정권 이래 최대의 ‘철통 보안’이었다고 입을 모은다. 그동안 개각이 있을 때마다 하마평에 대한 정보를 흘려 여론을 떠보는 식의 정치적 효과를 노려왔는데 이번엔 전혀 달랐다는 것이다. 실제 개각 발표 순간까지 후임 총리가 알려지지 않았고 신임 장관들도 발표 직전에야 통보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 한 출입기자는 “이번 개각은 장상 총리라는 깜짝 이벤트 때문에 철저한 보안이 이뤄져 일체 어떤 이야기도 흘러나오지 않았다”며 “개각은 원래 철저한 보안속에 이뤄지는 것이지만 이번엔 DJ 정권 어느 때보다 강력하게 정보가 차단됐다”고 말했다.
정보가 흘러나오지 않는 상황에서 검증되지 않은 하마평을 무조건 쓰고 보는 관행도 문제라는 지적이다. 한 청와대 출입기자는 “후임 국무총리로 고건 전 서울시장은 실제 검토가 됐으나 그외 무수한 사람들은 도대체 어디서 듣고 썼는지 의문”이라며 “확실한 정보가 없어도 무조건 쓰고 보는 관행 때문에 관련 기사를 요구받는 기자들 역시 상당한 스트레스였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