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독일의 특파원 교환 본받을만"

기협 금강산포럼 '남북기자 교류와 통일을 위한 역할'

김상철 기자  2002.07.18 00:00:00

기사프린트

"남북 기자교류는 작은 것부터 점진적으로, 그러나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지난 15일 언론재단과 기자협회 주최로 열린 제20회 ‘남북 기자교류’ 기자포럼에서 참가자들은 이같은 원칙을 재확인했다.

이날 ‘남북 기자교류의 전망과 통일을 위한 역할’을 주제로 발제를 맡은 임을출 한겨레21 기자(기자협회 남북언론교류특위 부위원장)는 “지난 2000년 8월 남측 언론사 사장단의 방북으로 남북 언론교류의 전환점을 맞이했으나 그 뒤, 결과는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면서도 “이전보다 상황이 진일보한 것은 사실”이라고 평가했다. 임 기자는 남측 언론사 사장단 방북 이후 남북 신문교환, 북측 언론사 대표단 답방 논의가 진척을 보이다 중단된 점을 예로 들어 “언론교류 역시 남북관계, 북미관계 등 정치적인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고 지적하며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교류 필요성을 강조했다.

임 기자는 남북 언론교류의 ‘불가피성’으로, 북한당국이 남북관계에 미치는 언론의 영향력을 인식하기 시작했고, 체제 생존을 위해서라도 남측 언론과 관계 재정립의 필요성이 제기될 것이라는 점을 들었다. 임 기자는 이 때문에 “사실 왜곡 없는 공정보도를 논의하기 위한 남북 언론인들의 접촉과 협력이 시급하다”고 강조하며 “올해 북측이 남북 청년대회, 여성대회를 준비중인 점을 감안, ‘남북 기자대회’ 개최를 북측에 제안하자”고 밝혔다.

이날 토론에서는 동서독 언론관계도 남북언론의 신뢰 구축을 위해 참고할 부분으로 거론됐다. 독일의 경우 지난 72년 동서독 기본조약 체결 직전 특파원 파견, 취재를 위한 입국 교통 편의 제공 등 언론인 취재활동에 대한 규정이 마련돼 다른 분야 보다 먼저 교류가 시작됐다. 71년 10월에는 양쪽 통신사가 임시 특파원 교환에 동의, 73년 서독 DPA 통신사가 처음으로 동독에 상주특파원을 파견했다. 이후 동서독 언론사들은 73년 2월 동독측이 마련한 ‘여타 국가기관과 그 특파원들의 동독 내 취재활동에 대한 규정’에 합의해 특파원을 상호 파견하기도 했다.

임 기자는 “동서독 언론교류는 양국 정부의 묵인 아래 언론사 민간차원에서 계속 확대되어 왔다는 특징이 있다”면서도 “이 과정에서 서독 언론인들이 왜곡이나 체제 우위를 선전하는 보도를 삼가고 동질성 회복에 노력했다는 점은 남북 언론교류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지적했다.

김상철 기자 ksoul@journaist.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