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브리핑룸 전환-폐쇄

다시 브리핑룸으로

김상철 기자  2002.07.18 11:02:22

기사프린트

고발사태 목포시청 갈등 봉합



격한 갈등 끝에 접어든 소강국면. 지난 4월 브리핑룸 전환 이후 또다시 기자실 강제 폐쇄로 이어졌던 목포시청 기자단과 공직협의 갈등이 일단 15일로 ‘봉합’ 국면을 맞았다.

목포시공직협은 이날 ‘목포시민에게 드리는 글’을 통해 “언론이 본연의 임무에 충실할 수 있도록 취재에 편의를 제공하고자 민원실의 ‘시민대화마당’과 공보담당관실을 비롯한 상황실, 회의실 등을 기자회견이나 시민대화의 열린 공간으로 활용토록 집행부와 협의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같은 날 출입기자들은 자정선언을 발표하며 △공정보도 △높은 청렴성 확립 △오보에 대한 정정·반론권 보장 및 취재보도 대상의 권리와 명예 보호 등을 선언했다.

지난달 26일 공직협이 브리핑룸을 강제 폐쇄한 이후 양자 간 갈등은 한층 격화돼 지난 2일 기자들은 “일부 공무원들이 공공장소를 강제 폐쇄했고 인터넷 게시글을 통해 기자들의 명예를 훼손했다”며 공직협 관계자들을 경찰에 고발하기도 했다.

이권철 직장협 대표는 이와 관련 “민선3기가 출범하는 중요한 시기에 시민들과 시정운영에 불편을 주고 있다고 판단, 기자와 직장협이 동등한 입장에서 상호 합의에 이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기자실 폐쇄 비상대책위 위원장을 맡았던 김상원 광주타임스 부국장은 “애초 기자들의 뜻대로,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개방형 브리핑룸 전환 방침을 밝혔으니 만큼 공직협에 대한 고발 취소를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여전히 갈등의 불씨는 남아 있다. 무엇보다 이전 브리핑룸에 대한 입장 차가 여전하다. 기자들은 지난 4월 브리핑룸 전환 이후 기자 상주 개념이 아닌 개방형의 공간으로 운영돼 왔다고 말한다. 반면 공직협은 컴퓨터 소파 등 각종 사무집기를 시에서 제공하는 등 이전 기자실과 다름없는 공간이었다고 보고 있다. 공직협은 15일 회의에서 기자들의 취재 활동과 공간 제공에는 적극 협조하되 상주 개념의 브리핑룸 설치는 반대한다는 입장을 정리했다.

목포시 출입기자들과 공직협이 ‘개방적인 브리핑룸 전환’이라는 새로운 공간을 만들어낼 수 있을 것인지는 아직 지켜봐야 할 것 같다.

김상철 기자 ksoul@journalist.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