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확인 요청 땐 모른다더니…"

미군 "부정확 보도가 시위 촉발"에 취재기자 반발

박주선 기자  2002.07.31 00:00:00

기사프린트

주한미군이 장갑차 여중생 사망사건을 다룬 언론 보도가 부정확한 사실 전달로 인해 반미 감정을 부추기고 있다는 문제제기를 하자 취재기자들은 ‘납득할 수 없는 비판’이라며 반발하고 있다.

주한미군은 지난 27일 성명을 통해 “언론의 부정확한 보도로 인해 그릇된 여론이 한국 사회에 조성됐다”며 “한국 국민이 주한미군의 말과 행동에 대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부정확한 보도 내용은 수정돼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성명은 구체적으로 △주한미군의 사과가 없었거나 뒤늦게 발표됐다는 언론보도는 사실과 다르며 △언론은 미군에 대한 재판권 문제를 불평등한 한미주둔군지위협정 때문으로 묘사했으나 군인의 공식업무 수행 중 사건에 대해 군이 재판권을 보유하는 전통은 미군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고 밝혔다. 이에 앞서 지난 14일 아너레이 미2사단장은 유가족 대표와 만난 자리에서 “라디오나 텔레비전 방송의 잘못된 보도에 따른 시민들의 시위가 걱정된다”며 언론 보도에 대한 불만을 표하기도 했다.

김용규 주한미군 공보관은 “일련의 보도를 보면 주한미군의 조치를 제대로 반영하지 않고 시민단체 등의 입장만이 인용돼 국민들에게 잘못된 믿음을 주고 시위에 나서게 했다는 점을 성명을 통해 지적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사고 직후부터 사건을 취재했던 한 기자는 “주한미군이 책임을 회피하려는 것 같다. 기자들도 미군 입장을 확인하고 싶지 않았겠느냐”며 “언론이 확인 요청을 하면 미군측에서는 대개 모른다, 내 소관이 아니라고만 일관했다. 시민단체에 경도된 보도를 했다 하더라도 미군 스스로가 초래한 일”이라고 말했다. 이 기자는 또 “한국 언론이 사건 초기부터 미군에 대해 좋지 않은 선입관을 가졌던 것은 아니다”라며 “오히려 미군이 사고 직후 촛불 추모제를 했을 때 대다수 언론이 긍정적으로 썼다”고 말했다. 그러나 미군측이 사고 처리과정에서 유가족들을 배제하고 사고 조사발표도 언론에 알리지 않으면서 언론 보도가 비판적으로 바뀌었다는 것이다.

또다른 취재기자는 “부시 방한 반대투쟁, 장갑차 사건 등으로 반미투쟁이 시민들의 지지를 얻어가면서 미군측이 부담을 느끼고 있는 것 같다”며 “도리어 이번 사건에서 중요한 문제는 일부 언론이 전달해야 할 것을 방치한 의무 방기”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