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사장의 편집권 유린은 97년 취임 이틀후부터 편집회의와 논설회의에까지 참석, 기획·제목·사진·원고 청탁 등에 일일이 간섭하면서 시작됐다.
이 사장이 부임 초부터 신경을 많이 쓴 시론과 사설은 ▷특정 지역에 편중한 필자를 선정토록 압력을 행사하거나 ▷마음에 맞지 않는 원고와 사설은 직접 수정을 가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편집국 한 간부는 "TK출신 위주 필자에게 시론을 청탁하며 호남 출신 인사에게는 부탁하지 않는 구조로 변화한 지 오래됐다"고 말했다. 호남 출신 필자의 글은 유독 수정이 심해 청탁할 엄두를 내지 못한다는 것이다.
이에 따른 필자들의 원고료 책정은 일괄적으로 지급하게 돼 있는 30만원에 이 사장 임의로 '+20만 원' 또는 '+30만 원' 식으로 결재한다고 이 간부는 말했다.
이 사장은 또 인터뷰 기사를 가급적 싣지 않도록 방침을 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인터뷰는 상대방의 의도에 말릴 소지가 많은 데다 취재기자가 촌지를 챙기는 것으로 여긴다는 것이다.
'주혜란 소환 보도'에도 사내에선 의혹이 제기됐다. 타신문에선 스트레이트는 물론 해설, 이모저모 등 소품 기사들을 대대적으로 보도했음에도 세계일보는 1면에 스트레이트 기사만 나갔다. 이에 대해 편집국 한 간부는 기사 자체가 더 이상 키울 수 없을 정도로 팩트가 빈약했기 때문이라고 해명했다.
그는 첫날 보도를 제외하곤 이후 '질과 양'에서 타사에 뒤떨어지지 않게 보도해 큰 문제는 없다는 반응을 보였다. 하지만 사내에선 통일그룹과 임창열 지사와 모종의 관계가 작용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 왜냐하면 첫 보도 당시 담당 기자에게 해설, 일문일답 등 관련 상자기사 등을 준비할 필요도 없다고 지시했기 때문이다.
한편 이 사장은 지시에 반대하는 인사들을 공식 석상에서 '추출세력' 또는 '음해세력' 등으로 규정해 불만의 목소리를 차단하고 있어 문제제기조차 이뤄지지 않는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