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이 장대환 국무총리 지명자에 대한 검증에 지나치게 소홀해 동업자 봐주기라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장상 전 총리지명자 때와 비교하면 보도량부터 큰 차이를 보일 뿐만 아니라 당시 엄격하게 적용했던 검증 잣대도 찾아보기 어렵다는 지적이다.
관련기사 3·4면
신문검색서비스 ‘카인즈’를 통해 10개 종합일간지를 대상으로 장 총리 지명자가 임명된 직후(8월 10일∼19일)와 장상씨가 총리로 지명된 직후(7월 12일∼20일)의 8일치 보도량을 비교한 결과, ‘장대환&논란’은 48건, ‘장상&논란’은 268건으로 5배 이상의 격차를 나타냈다. ‘장대환&의혹’을 검색한 결과에서도 39건에 그친 반면 ‘장상&의혹’은 153건으로 4배 가량 차이가 났다.
보도량 뿐만 아니라 장 총리 지명자에 대한 각종 의혹과 논란을 추적하고 검증하는 언론의 보도태도 역시 장상씨 때와는 뚜렷한 대조를 이루고 있다. 장상씨는 아들 국적 문제, 학력 위조 논란, 97평 아파트 개조 문제, 공동소유 임야 투기 논란, 아들 건강보험 혜택, 역사관, 말바꾸기 시비 등을 언론이 연일 대대적으로 문제삼아 결국 총리 인준 낙마에 영향을 미쳤다. 반면 장 총리 지명자의 경우 부동산 투기 및 특혜 대출 의혹, 주식 보유 논란, 자녀 위장전입 논란 등 여러 의혹이 드러나면서 언론의 적극적인 검증이 필요한데도 깊이 있는 추적·탐사 보도에 나서지 않고 있다. 동아일보가 지난 19일과 20일에 걸쳐 집중 보도한 장대환 총리지명자 기사가 제대로 된 검증 기사로 평가받고, 경향 문화 등이 상대적으로 깊이있게 접근한 것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언론이 표면적으로 드러난 사실과 논란을 정리하는 수준에 그쳤을 뿐이다.
따라서 장 총리 지명자가 국제신문협회(IPI) 한국위원회 감사, 신문협회 이사 등으로 활동하며 유지해온 언론사 사주들과의 관계 때문에 언론이 비판과 감시 역할을 방기하고 있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김영호 전 세계일보 편집국장은 “장대환 총리지명자의 주식투자 문제, 부동산 투기 의혹, 거액 대출 특혜 논란, 매경 탈세 문제 등은 언론이 본격적으로 추적해야 하는 사안인데도 이에 대한 검증이 거의 전무하다”며 “언론사 사주끼리의 인간적 관계가 가장 크게 작용하고 있다고 봐야 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