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지 시장 공략이냐, 수성이냐. 조선일보와 중앙일보가 경제섹션을 잇따라 증면하면서 그 파장을 놓고 언론계 시선이 집중되고 있다. ‘지방시장 공세’에 이은 경제지 시장으로의 영토 확장 아니냐는 관측과 함께 경제신문 쪽에서는 촉각을 곤두세우며 긴장하는 분위기다. 여기에 동아일보도 곧 경제섹션 증면에 나설 것으로 알려져 당분간 파장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조선일보는 지난 13일 조선경제 섹션 증면 방침을 밝히고 20일부터 24면 발행에 들어갔다. 지난 5월 조선경제를 발행하면서부터 증면을 준비했던 조선일보는 “앞으로 ‘종합지 조선일보’와 ‘경제지 조선경제’ 두 기둥으로 운영될 것”이라고 밝혔다. 김광현 경제담당 부국장은 “부동산, 글로벌비즈니스 등 기존에 섹션이 너무 많았고 이를 감안하면 순 증가면은 3~4개면 정도”라며 “일단 콤팩트하게 그날 벌어진 사안들을 한데 모아 정리한다는 개념으로 갈 것”이라고 말했다.
중앙일보는 조선경제 발행 하루 전인 지난 19일 경제섹션 증면을 알리며 중앙경제를 전격 발행했다. 중앙경제는 16면 외에 별도 섹션을 추가, 16~32면체제로 운영된다. 박태욱 경제담당 부국장은 “애초 여름철 감면기가 지나고 이번 주(19일)부터 경제섹션 증면을 계획했었다. 지면은 16면을 기본체제로 할 것”이라며 “‘종합지 속의 경제지’라는 개념은 이미 99년 머니섹션을 발행할 때 내걸었던 목표였다”고 설명했다.
이들 신문들이 증면의 주 요인으로 꼽는 것은 IMF 이후 경제기사 수요가 꾸준히 늘고 있다는 점이다. 독자 요구에 대한 부응이 일차적인 취지라는 것. 반면 경제신문의 경우 IMF 이후 시장이 꾸준히 성장해왔다는 점에서 종합지들의 경제섹션 증면은 기존 독자요구 충족 차원을 넘어선 시장 확장 효과를 노리고 있다는 분석도 제기되고 있다. 경제신문이 긴장하고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한국경제의 한 부장은 “판매 광고 등에서 출혈경쟁 우려도 있고, 신경 쓰이는 것은 사실이다. 기사의 심층성을 강화하는 등 대책을 강구 중”이라며 “양적으로나 질적 차별성에서 자신감이 있지만 그렇다고 대비를 안 할 수는 없는 일”이라고 말했다. 매일경제의 한 차장도 “일종의 ‘전면전’이라는 차원에서 지면 개선 등 대응 방안을 준비 중인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또 “종합지의 경제섹션으로 경제기사에 대한 저변이 넓어지면 그 수요는 결국 기존경제신문에게 돌아갈 것”이라고 기대하기도 했다.
한편 동아일보를 제외한 다른 신문들은 이같은 양상을 지켜볼 수밖에 없는 형편이다. 인력이나 윤전설비 면에서 증면이 사실상 어려운 형편이기 때문이다. 일단 동아일보는 경제섹션 증면 방침을 정했다. 어경택 편집국장은 “조선과 중앙의 경제섹션 증면에 따라 ‘머니&비즈니스’ 섹션을 증면할 계획이다. 면수와 시기는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고 밝혔다. 반면 한 신문사 경제부 기자는 “현재로선 경제섹션을 별도로 발행하는 데 만족해야 하는 수준”이라며 “당장 광고에서부터 여파가 있지 않겠느냐”고 우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