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청 중앙지 출입기자단이 시청직장협의회의 기자실 강제폐쇄 요구에 따라 시청 외부에 기자실을 마련하게 됐다. 지난달 기존 기자실을 통폐합해 브리핑룸과 기자실을 절충한 형태의 공간이 마련됐지만 시직협이 완전 브리핑룸 설치를 고집하고 있기 때문이다.
시직협은 지난 7월 기자단측에 기자실을 폐쇄하고 프레스룸으로 바꾸겠다면서 7월 31일까지 기자실을 비워달라고 요구했다. 이에 따라 기존 5개 기자실은 2개로 축소되고 기자실 사이에는 브리핑룸이 설치됐다.
그러나 문제는 시직협이 새로운 기자실에 대해 지난달 13일 “기존 기자실 형태를 그대로 유지한 제2의 기자실은 수용할 수 없다”며 완전 브리핑룸 설치를 재차 촉구하면서 불거졌다. 이어 이튿날 시직협은 기자실 강제폐쇄를 감행하고, 기자단과 협상 중이던 지난달 23일 기자실에 못질을 해 재차 폐쇄조치를 하는 등 강도높은 대응을 하고 있다. 또 새로 마련된 기자실을 축소해 공개 브리핑룸을 설치할 것을 고수하고 있어 기자들과 의견차를 좁히지 못하고 있다.
중앙지 한 출입기자는 “시직협이 강제로 기자실을 폐쇄하려는 방침은 방법상 문제가 있지만 시청사내 공간 부족문제, 기자실 개방화 추세 등을 감안해 통폐합에 동의했다”며 “그러나 직협이 기자실내 ‘책상이 크다’, ‘서랍설치는 안된다’는 등 사소한 문제를 들고 나오면서 입장차를 좁히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기자는 또 “언론개혁의 본질은 신문 강제구독, 접대비 등 언론관련 예산을 투명하게 공개하고 집행하는 것이지 기자실 평수를 줄이고 서랍문제를 제기하는 것은 아니다”라며 불만을 토로했다. 양측 의견차로 결국 출입기자단 가운데 중앙지 경제지 기자 14명이 지난달 말 시청 인근에 사무실 임대계약을 하고, 이르면 이번주 중 입주하게 된다.
이에 대해 손종학 시직협 위원장은 “그간 기자실이 사적 공간으로 유용되면서 폐해가 많았고, 청사내 공간 부족 문제도 컸다”며 “시직협은 기자 본연의 취재활동을 막으려는 것이 아니라 개방적 브리핑룸으로 가자는 것”이라고 기존 입장을 재확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