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지가 자정 노력을 구체화하고 있다. 비리 연루시 엄격한 처벌과 편집권 독립 강화를 통해 ‘새로운 풍토’를 조성하겠다는 것이다. 일부 스포츠지 노조는 이를 제도화하기 위해 파업까지 불사하고 있다.
스포츠투데이는 지난달 28일 △노사 동수 윤리위원회 설치 △비리관련 윤리위 회부시 반드시 징계하고, 기소된 자는 최소 정직 또는 해고하기로 노사가 합의했다. 또 편집국장 임면 동의제를 도입하기로 했다. 스포츠서울도 지난달초 윤리위원회 설치 및 비리 연루로 기소될 때 정직 또는 해고 조치를 의무화했다. 편집국장 임명동의제도 시행키로 합의했다.
안대찬 언론노조 스포츠서울지부 사무국장은 “징계조치를 포함한 윤리규정을 제도화함으로써 자정 결의가 선언에 그치지 않고 실천으로 이어지도록 했다”고 밝혔다.
이에 앞서 지난 7월 스포츠조선 지부는 비리연루 기자를 회사가 재임용하자 제작거부에 돌입, 이를 철회시켜 스포츠지 자정 운동의 좋은 선례를 남겼다. 스포츠조선 지부는 이 제작거부로 △윤리위원회 회부시 반드시 징계 △비리로 기소시 정직 또는 해고 조치 등 엄격한 제재 조항을 명시화하고 편집국장 직선제를 도입하는 성과를 얻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