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신문공정판매총연합회(신판연)와 전국신문통신노조협의회(신문노협)가 신문시장 정상화를 촉구하고 나섰다.
신판연은 지난달 26일 일민미술관 대강당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신문고시를 강력하게 적용해 불공정판매행위를 근절하라고 주문했다. 신판연은 성명서에서 “신문이 신문을 파는 것이 아니라 판촉물이 신문을 파는 것이 현실”이라면서 “구독자들이 정직한 신문, 양질의 신문을 선택할 수 있도록 신문시장을 투명하게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자리에는 각 신문사 지국장과 배달원들이 참석, 현장의 현실을 알리기도 했다.
A일보 갈현지국장 박 모씨는 “현재 유가지로 200여부만이 나가고 있는데 본사에서는 1200부의 신문값을 요구하는 등 부당한 신문대금 청구가 계속되고 있다”고 밝히고 “본사와 지국간 불합리한 약정계약약관을 전면 개정해 공용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경남 창원에서 상경, 이날 기자회견에 참석한 조 모씨는 “현재 전국적으로 전현직 지국장 20만명이 신용불량자라는 통계결과가 있다”면서 “신문고시가 부활된지 1년이 지난 지금도 판매현장은 과열혼탁 양상으로 치닫고 있는데 신문협회와 공정위는 도대체 뭘 하는 건지 모르겠다”며 분통을 터뜨렸다.
한편 전국언론노조 산하 전국신문통신노조협의회(신문노협)도 지난달 29일 프레스센터 앞에서 전국 지부에서 모인 300여명의 노조원이 참가한 가운데 신문판매시장 정상화를 촉구하는 결의대회를 열었다.(사진)
집회에서 신문노협 경남신문지부 이상규 위원장은 일부 신문들의 불공정거래 관행에 대한 실태보고를 통해 “특정신문의 금권을 이용한 시장독점으로 지역언론이 말살되고 있다”고 밝혔다. 신문노협은 대회를 마친뒤 신문시장 정상화를 촉구하는 항의서한과 공개질의서를 신문협회와 공정위에 각각 전달했다. 신문노협은 이후 여야 각 정당 대선후보에게 신문시장 정상화에 대한 대선공약화를 요구하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