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7일 방송위원회와 방송문화진흥회에 대한 국회 문화관광위원회의 국감에서 여야 의원들은 방송사의 편파보도, 신보도지침 논란, MBC 국감 및 민영화 등을 둘러싸고 공방을 벌였다. 특히 한나라당은 MBC의 편파보도를 집중적으로 추궁하고 MBC에 대한 국감 및 민영화 방침의 정당성을 또다시 쟁점으로 부각시키며 공세를 재개했다.
△방송 편파보도=이날 국감에서는 병풍보도와 관련한 방송의 편파보도가 집중 타깃이 됐다. 야당 의원들은 특히 MBC의 편파보도를 문제삼고 방송위와 방문진의 대책 마련을 촉구했으며 여당 의원들은 한나라당의 ‘신보도지침’을 “언론자유를 무시한 폭거”라며 비난했다.
한나라당 정병국 의원은 “방송사들은 김대업씨의 주장을 근거로 한 부풀리기 보도, 한인옥 여사의 개입의혹 부각 등 편향성을 드러냈다”며 “특히 MBC 뉴스가 가장 편파적”이라고 지적했다. 한나라당 이원창 의원도 “이정연씨 병역 문제는 대선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대한 사안인데도 방송 3사는 철저한 확인없이 추측성 기사를 내보내고 있으며 특히 MBC는 한나라당이 공정한 수사에 압력을 넣고 있다는 느낌을 주는 보도를 서슴지 않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한나라당 현경대 의원은 “MBC는 자신의 힘을 과신해 균형잡힌 방송을 등한시함으로써 편파방송 시비로 얼룩져있다”며 “대선을 앞두고 편파방송 시비가 발생하지 않도록 방문진이 특별 조치를 취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민주당 김성호 의원, 정동채 의원 등 여당 의원들은 “한나라당이 병역비리 보도와 관련 방송 4사에 보낸 신보도지침은 언론의 자유와 독립을 부정하는 정치적 폭거이자 오만”이라고 비난했다.
△MBC 국감 논란=한나라당 김일윤 의원과 신영균 의원은 “MBC는 회사 자본금의 70%가 공공재원인 만큼 경영과 회계를 국회가 감사하는 것은 당연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두 의원은 이어 “한나라당의 감사원법 개정은 법 체계의 미비점을 보완하기 위한 것인데 MBC는 한나라당이 보도내용에 불만이 있어 법개정에 나선 것처럼 여론몰이를 하고, 국회의 감시를 언론자유의 침해로 인식하고 있다”고 불만을 드러냈다. 한나라당 고흥길 의원도 “감사원법 개정은 MBC를 표적에 둔 것이 아니다”라며 “민주당도 새정치국민회의 시절에 MBC 국감을 요구했었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민주당 김성호 의원은 “MBC에 대한표적 국감 발상은 방송의 독립과 자율성을 침해할 뿐만 아니라 방문진의 설립취지에도 위배된다”며 “한나라당은 MBC 국감 방침을 철회하고 방송이 진실보도를 통해 견제와 감시 기능을 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고 강조했다. 민주당 정동채 의원도 “MBC의 국감 대상화는 입법권을 악용한 언론탄압”이라고 반박했다.
△MBC 민영화=한나라당 의원들은 MBC의 정체성 문제를 지적하며 장기적으로 민영화를 추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나라당 김일윤 의원은 “MBC는 공영방송과 민영방송이란 포장을 번갈아 쓰면서 민영화도 반대하고 국감도 반대하는 이중성을 띠고 있다”며 “방문진은 MBC 민영화에 대한 장기적인 계획을 적극 검토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민주당 심재권 의원은 “방송 부문의 민영화는 공기업 민영화와는 성격이 다르다”고 전제한 뒤 “한나라당의 MBC 민영화 추진은 정수장학회 지분을 강탈하기 전에는 현실적으로 MBC의 경영권을 정수장학회(이사장 박근혜 의원)에 넘겨주는 것”이라며 “정수장학회의 지분을 방문진으로 환원해 완전 공영으로 전환하는 것도 대안”이라고 밝혔다. 서정은 기자 punda@journalist.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