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언론교류'가 근본 해법

정부 "알아서 하라" 뒷짐…언론도 소극적

김상철 기자  2002.10.02 00:00:00

기사프린트

북측 변화를 뒤늦게 파악하고, 현지 취재 역시 외신의 몫으로 돌려야 하는 현실이 언제까지 지속될 것인가.

대북취재 개선에 대한 근본 해결책은 결국 남북언론 교류를 통해 풀어나가야 한다는 지적이 높다. 통신사 간 기사교류, 기자 상주 등 취재 차원의 접근으로 해결될 문제가 아니라 ‘언론교류’ 차원에서 풀어야 할 숙제이기 때문이다. 여기에는 상호신뢰 회복을 위한 정기적이고 지속적인 교류와 정부 당국의 지원이 필수적이다.

국내 언론의 방북 활동은 정부나 민간 차원의 남북교류 행사에 취재진으로 참여하거나 개별 언론사 차원의 방문, 관련 행사 남북 동시중계 등 행사 위주로 진행된 것이 사실이다. 정작 이 과정에서 남북 언론차원의 교류는 제대로 성사되지 못했다. ‘취재’만 있었을 뿐 ‘교류’가 없었다는 것이다.

명시적인 성과는 지난 2000년 8월 남측 언론사 사장단이 방북해 공동합의문을 작성한 것 정도다. 당시 남북 언론사들은 민족의 단합과 통일을 실현하는 데 도움이 되는 언론활동 전개 등에 합의하며 이후 언론기관의 접촉은 남측의 ‘남북언론교류협력위원회’, 북측의 ‘조선기자동맹 중앙위원회’가 맡기로 했다. 이같은 분위기에 힘입어 언론계에서는 남북 기자 상호취재, 특파원 상주 등의 방안들이 제기되기도 했으나 대부분 일회성 제안에 머물렀다.

실제로 신문협회 방송협회 기자협회 등으로 구성된 남북언론교류협력위는 2000년 12월과 2001년 초 북측 답방과 이를 위한 실무접촉을 제안한 것 외에 뚜렷한 활동을 보이지 못하고 있다. 한 통일부 출입기자는 “이제까지 남측 언론의 북한 접촉은 언론 차원의 교류를 모색하기 보다는 그 자체가 언론사 간 경쟁의 대상이 된 측면이 있었다”고 지적했다.

독일의 경우 지난 72년 동서독 기본조약 체결 직전 특파원 파견, 취재를 위한 입국 교통편의 제공 등 언론인 취재활동에 대한 규정이 마련돼 다른 분야보다 먼저 교류가 시작됐다. 71년 10월에는 양쪽 통신사가 임시 특파원 교환에 동의, 73년 서독 DPA 통신사가 처음으로 동독에 상주특파원을 파견했다. 독일 통일이 실현된 것은 상주 특파원 신설 이후 27년만인 지난 90년이었다. 장기적인 시각에서의 언론교류 필요성과 그 시급함을 동시에 보여주는 전례인 셈이다. 양국은 또 지난 70년 동서독 정상회담 당시 동독정부가 서독 특정 언론의 취재를 거부하는 등의 갈등을 거치기도했다.

언론 차원의 교류 모색만이 아니라 정부의 지원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언론교류 역시 남북 정치상황과 남북관계의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 대북보도와 관련한 언론의 태도 변화와 함께 정부 차원의 조치도 뒤따라야 한다는 것이다.

정일용 연합뉴스 논설위원은 “향후 남북관계에 있어 언론의 역할은 더더욱 중요해질 것”이라며 “정부도 남북 언론교류를 ‘알아서 하라’는 식으로 방치할 것이 아니라 남북 당국자 간 공식 의제로 채택해 이를 뒷받침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상철 기자 ksoul@journalist.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