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상 처음으로 ABC협회가 동아일보 조선일보 중앙일보 등 세 신문의 본공사를 한꺼번에 실시해 그 결과에 관심이 모아졌으나 동아 중앙의 반대로 두 신문사의 유료부수는 공개되지 않게 됐다.
ABC협회는 지난 8일 인증심의를 위한 이사회를 열고 조선일보(2001년 1∼12월)의 발행, 발송, 유료부수를 인증했으나 동아일보와 중앙일보(2001년 7∼12월)에 대해서는 유가부수를 제외한 발행, 발송부수만을 인증했다.
ABC협회측은 “이날 이사회에서 금년에 한해 동아·중앙일보는 발행, 발송 부수만 인증하는 데 대해 8대 3으로 찬성이 많았다”며 “이에 따라 동아, 중앙의 유료부수 심의는 이사회 안건으로 상정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이는 동아 중앙이 지난달 23일 ABC협회의 본공사 결과를 개별 통보받은 뒤 이사회에 유료부수 인증을 심의안건으로 상정하지 말 것을 요청하는 공문을 보낸 데 따른 것이다. 두 신문사는 협회측에 △현행 유료부수 기준이 준유가독자에 대해 2개월까지만 유료부수로 인정해 6개월 이상되는 준유가독자가 많은 시장상황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첫 공사에 따른 자료 준비 미비와 경험부족으로 유료부수를 충분히 입증하지 못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지난해 신문시장의 투명성 제고를 위해 ABC가입을 선언했던 두 신문사가 정작 핵심이 되는 유료부수 공개를 반대, 시장정상화 취지를 스스로 훼손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지난해 4월 동아일보는 사고에서 “독자의 신뢰에 부응하고 신문시장의 투명성을 높이고자 발행부수공사에 다시 참여키로 했다”고 밝힌 바 있다. 중앙일보도 지난해 7월 사설을 통해 “판매와 경쟁의 공정성 확보를 위해 ABC에 가입하면서 낡은 판매 관행을 고치기 위한 여러 노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밝혔다.
다른 한편 중앙일보의 경우 유료부수 계산 방식에 대해 가입 당시부터 여러 차례 문제를 제기해 ABC협회측이 회원사와의 입장 조율에 적극적으로 대처하지 못했다는 비판도 나오고 있다. 중앙일보는 가입 이후 △1년 전 지국독자 조사 △준유가독자 처리문제 등이 현실을 반영하지 못한다며 ABC협회측에 공식적으로 문제제기를 했었다.
ABC협회 관계자는 “이달 안으로 회원사를 중심으로 공사추진활성화위원회를 구성, 일부사의 문제제기를 포함해 새로운 유가기준 마련을 위한 논의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모든 신문의 발행, 발송, 유료부수가공개되기를 바라는 광고계나 사회 기대에는 미흡한 결과이지만 동아, 중앙이 새로이 ABC 인증부수를 공개하게 됐다는 점은 ABC정착 과정에 한걸음 진보된 것으로 평가한다”고 밝혔다.
한편 이날 이사회 인증을 받은 세 신문사의 1일 평균 발행부수는 대략 조선 242만부, 중앙 211만부, 동아 200만부로 알려졌다. 유료부수는 조선이 180만부이며, 중앙이 이보다 30만∼40만부 적고, 동아가 10만부 더 적은 것으로 전해졌다. 인증을 받은 부수는 이달 중순께 발간될 공사보고서에 공개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