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일 국회 문광위의 MBC 업무보고는 별다른 쟁점 없이 조용히 끝난 것으로 알려졌다. MBC를 국감 대상에 포함시키기 위한 감사원법 개정안 제출, MBC에 대한 출연 거부, 김중배 사장 임원회의 발언 왜곡 등으로 MBC와 한나라당이 불편한 관계였다는 점에서 이번 MBC 업무보고가 뜨거운 공방으로 치달을 것이란 전망도 있었으나 예상과 달리 순탄했다는 전언이다. 대선을 앞두고 MBC와의 관계를 더 이상 갈등 국면으로만 끌고 갈 수 없다고 판단한 한나라당이 MBC에 대한 공세를 자제한 게 아니냐는 분석이다.
이날 업무보고에서 한나라당 의원들은 MBC 국감 문제, 방송사 대북지원 의혹, 병풍관련 보도 편파 시비 등을 제기했으나 이전 국회 문광위 감사에서 거론한 수준을 넘지는 않았다.
한나라당 의원들은 “MBC가 국감을 받거나 민영화를 해야 한다”는 논지를 폈으나 감사원법 개정을 통해 국감을 받아야 한다는 쪽에 무게를 실었다. 이에 대해 김중배 사장은 “법 개정은 국회의 몫이지만 무리한 법 개정은 상당한 논란과 문제제기를 부를 수 있다”는 기존 반대 입장을 다시 한번 강조했고 구체적인 답변은 서면으로 대체됐다.
최근 방송사들의 남북 방송교류와 관련 한나라당 의원들은 ‘퍼주기’와 ‘뒷돈 거래’ 의혹을 제기했으나 김중배 사장은 “MBC의 돈 쓰임은 투명하게 이뤄지고 있으며 뒷거래를 있을 수 없다”고 답변했다.
‘신보도지침’과 관련해선 여야 의원간 설전으로 그쳤다. 민주당 의원들은 “방송사들이 심리적 위축을 느낄 수 있다” “언론탄압용”이라며 문제를 삼았고 한나라당 의원들은 “보도지침이 아닌 협조공문이다. 오히려 우리가 매도당하고 있다”며 반박했다.
MBC 한 관계자는 “준비했던 범위에서 예상된 질문만 나왔고 비공개 업무보고라 여야 의원간 공방도 치열하지 않았다”며 “한나라당의 MBC 출연 거부 방침이나 김중배 사장의 임원회의 발언 문제 등도 쟁점화되지 않았다”고 말했다.